대학병원 응급실 찾는 경증환자, 중소병원에 돌려보낸다
2015-12-29 14:19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 응급실에 환자가 몰리는 현상을 줄이기 위해 응급하지 않은 환자가 대형병원의 응급실을 찾을 경우 중소병원으로 돌려보내는 방안이 추진된다.
보건복지부는 '의료관련감염대책 협의체'(위원장 이윤성 대한의학회장)가 제시한 '의료 관련 감염대책 추진 권고문'을 받아들여 이런 내용의 정책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관련 전문가와 의료단체, 시민사회단체 등이 참여한 협의체는 지난 10월부터 두 달간 중동호흡기중후군(메르스)으로 제기된 의료감염 관리의 취약점 개선을 위해 논의했고 권고문으로 결과를 발표했다.
구급대가 환자의 상태가 응급하지 않다고 판단할 경우 대형병원이 아닌 중소병원의 응급실로 이송하게 하고, 만약 이를 어길 경우 구급대 평가시 반영할 계획이다.
환자가 스스로 대형병원 응급실을 찾을 때도 응급실 전문의료인력이 사전 분류단계에서 비응급 환자라고 판단하면 중소병원 응급실로 보내는 방안도 추진된다.
응급실 과밀화는 메르스 사태의 근본 원인 중 하나로 지적돼 왔다. 메르스 확진자 186명 중 응급실에서 감염된 사람은 절반에 가까운 88명이나 된다.
복지부는 대형병원 응급실에서 24시간 넘게 체류하는 환자의 비율을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게 하고, 이를 위반하는 병원에는 권역·지역 응급센터나 상급종합병원 지정을 취소하는 불이익을 주도록 법제화할 계획도 가지고 있다.
또 협의체의 의견을 받아들여 의료기관 내 감염병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감염관리실 설치를 단계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감염관리실은 의사 1명, 간호사 1명, 기타 인원 1명이 배치돼 병원 내 감염 관리를 담당한다.
현재는 중환자실이 있는 200병상 이상 병원에만 설치하게 돼 있는 것을 중환자실이 없는 병원으로 확대하고, 병상 기준을 200병상에서 150병상으로 조정할 계획이다.
전문 간호인력이 간호와 간병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포괄간호서비스의 확대에도 더 속도를 내기로 했다.
간호등급 3등급(총 6등급) 이상인 상급종합병원, 서울지역 종합병원, 병원급 의료기관을 서비스 참여 대상으로 넓혀 현재 112개인 참여 의료기관을 내년 연말까지 400곳으로 늘리기로 했다.
이와 함께 국립중앙의료원을 '중앙 감염병 전문병원'으로 지정하고, 국립대 병원 등 공공의료기관 중 3~5곳을 권역별 전문치료병원으로 지정·운영한다.
의료기관 인증제도에 감염관리 활동에 대한 지표 비중을 확대하고, 인증을 받아야 의료질평가 지원금을 받을 수 있게 인증 제도를 내실화하기로 했다.
상급종합병원과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 일정 수준의 음압병상(1인실)을 설치하고 설치 기준ㆍ관리 수준에 따라 적정 수준의 건강보험 수가를 적용하는 방안도 대책에 포함됐다.
급성기 환자의 일반 입원실 내 병상수를 4개 이내(요양병원은 6개)로 개선하고, 병상간 이격거리와 환기 기준도 만들 계획이다.
중환자실에도 병상 규격, 병상간 이격거리, 손씻기 설비 설치기준 등을 마련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