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野 정당사 또 누더기"…안철수 탈당, 야권분열 반사이익 노림수

2015-12-14 11:42

아주경제 석유선 기자 = 새누리당 지도부는 전날 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전 공동대표의 탈당에 따른 야권 분열의 반사이득을 노린듯, 14일 회의에서 작정하고 쓴소리를 토해냈다.

선거구획정과 경제활성화법 처리 등 산적한 국회 현안 과제가 많지만, 내년 4·13 총선을 앞두고 야권이 분열하면 할 수록 중도·보수층의 여권에 대한 표몰이를 기대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이들은 그러면서 당내 분열 없는 단합을 한층 강조하고 나섰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전날 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전 공동대표의 탈당에 따른 야권 분열의 반사이득을 노린듯, 14일 회의에서 작정하고 쓴소리를 토해냈다. 김무성 대표와 당 지도부는 14일 오전 국회 대표최고위원실에서 최고위원회의를 개최하고 분열없는 단합을 강조했다.[사진=새누리당 제공]


김무성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대선과 총선을 앞두고 탈당과 분당을 일으켜온 우리 정당사는 또 누더기가 되고 있다"면서 "참으로 부끄럽고 안타깝다"며 강도높은 발언을 했다. 

초·재선 중심의 아침소리 소속인 이노근 의원도 이날 아침 회의에서 "정치적인 희극 드라마이자 비극"이라면서 "돈이 없어서 동업장사를 하는 사람이 많은데 결국 실패로 귀결된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비판했다.

일각에서는 야당의 분열이 당장은 여당에겐 호재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새누리당 또한 계파 갈등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에서 무조건 비난하기 힘들다는 시각도 있다.

이를 의식한듯 김 대표는 또 한번 계파간 '공천권 갈등' '전략공천'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김 대표는 이날 최고위에서 "대선과 총선을 앞두고 이뤄진 탈당과 분당은 결국 대선후보 쟁취싸움이나 당내 공천권 지분싸움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라면서 "당내 분열과 갈등을 막는 최선의 방법은 공천권을 내려놓고 기득권을 포기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전략공천을 포함해 내리꽂기식 공천을 반대하면서 자신의 '국민공천제'를 다시금 강조하며 여권내 분열을 막아야 한다는 의지로 읽힌다. 

반면 친박계 맏형 격인 서청원 최고위원은 "총선이 코앞에 다가왔는데 공천 특별기구의 인원도 선정해야 하고 룰도 정해야 한다"면서 "말은 그럴싸하게 하고 사심을 갖고 하면 안된다"고 지적했다.

서 최고위원이 그동안 공천 특별기구의 위원장을 비롯한 인선과 공천 룰을 놓고 김 대표와 사사건건 부딪혔던 점을 볼때, 서 최고위원이 언급한 '사심'은 김 대표를 겨냥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친박계는 결국 무위에 그쳤지만 김 대표는 완전국민경선제(오픈 프라이머리)나 그 이후 경선에 참여하는 당원 대 국민의 비율을 현행 당헌·당규의 50:50이 아닌 30:70으로 바꾸려는 시도를 통해, 현 지배 구도를 유지해 김 대표가 대선까지 노릴 것이란 의구심을 품고 있다. 

일각에선 안철수 전 공동대표가 탈당 이후 독자세력화로 내년 총선에서 여야간 중도층 공략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이라며, 보수색채가 강한 여당이 이에 대비하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과거에는 야권이 분열한 후 통합을 하더라도 진보진영 내에서만 벌어졌지만, 이번에는 안철수세력이 새정치연합과 차별화해 중도층을 포섭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 경우 전체 야권의 이념적 스펙트럼이 중도세력까지 확장돼 결과적으로 여야간에 중도층 표심을 겨냥한 싸움이 격해지면 새누리당의 입지 또한 안심할 수 없다. 

더욱이 야권이 각개 약진을 한 뒤 총선을 코 앞에 두고 새정치민주연합과 정의당, 호남을 중심으로 하는 천정배신당과 안철수세력까지 4개 세력이 '헤쳐모여'를 통해 박근혜 정부와 1 대 1 구도를 형성한다면 파괴력이 상당할 수 있다.

이런 우려를 반영해 새누리당 내부에서 이른바 '좌클릭'으로 표현되는 '중도 노선 강화' 목소리가 커질 것이란 관측이다. 하지만 유승민 사퇴 파동 이후 새누리당 내부에선 보수적 색채가 더 강해졌다는 점이 문제다. 

이에 따라 총선을 앞두고 여당내 서울 및 수도권 출신의 중도 성향 의원들이 당의 탈(脫)보수화를 전면에 내세우는 한편, 청와대와의 관계에서도 '수평적 당청 관계'를 요구할 경우 당내 갈등은 또한번 증폭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