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유가 후폭풍] 수출업종 "깊어지는 시름"…저물가 '악순환의 고리'
2015-12-09 08:52
국제유가 배럴당 30달러대 추락…7년만에 최저
초저유가 시대…국내 수출 산업 '먹구름'
저유가 '악순환의 고리'…디플레이션 우려 등 저물가 지속?
초저유가 시대…국내 수출 산업 '먹구름'
저유가 '악순환의 고리'…디플레이션 우려 등 저물가 지속?
아주경제 이규하·노승길 기자 =국제유가가 배럴당 30달러대로 하락하면서 조선·석유화학·석유제품 등 관련 수출부진업종의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저유가로 인한 저물가의 ‘악순환의 고리’를 끊지 못할 경우 내년도 한국 경제는 디플레를 우려해야 할 상황이다. 8일 정부와 경제연구소 등에 따르면 우리나라 수출은 지난달까지 11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오는 등 한국경제의 성장 전망은 먹구름이다. 특히 올해 말에 이어 내년에도 지속될 수 있는 저유가 폭탄은 수출전반에 걸쳐 악재를 불러올 수 있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최근 정부도 저유가에 따른 수출업계 부진 등 긴급 점검에 나섰지만 지금으로선 뚜렷한 대안이 없는 게 현실이다.
◆ 저유가의 저주...수출 위축 불가피
저유가 기조를 넘어선 초저유가 폭탄은 조선 등 수출부진 업종에 직격탄을 날리는 셈이다. 초저유가의 경우 수출 단가 하락을 불러와 우리나라의 수출 규모를 위축시킬 수 있어 저유가의 저주로 불린다.
배럴당 40달러대 붕괴 소식은 산업계로서도 비상이다. 수출주력 품목의 경쟁력은 추락하고 조선·철강 분야 등에는 큰 시련으로 다가올 수 있다.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국내 조선 빅3 업체들이 맥을 못 추고 있는 상황에서 해양플랜트 수주 실적이 제로에 가까울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4일 열린 석유수출국기구(OPEC) 총회에서 OPEC의 생산목표 합의가 실패로 끝난 탓이 크다. 때문에 당분간 현재 생산수준을 이어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정부 관계자는 “저유가는 정유·플랜트 등 수출부진업종에서 부정적 효과가 더 클 수도 있다. 그러나 국제유가 하락을 이끌었던 세계경기 부진이 선진국을 중심으로 다소 완화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며 “정유·해양플랜트·중동지역 플랜트 수주 등 부정적 영향이 우려되는 등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대응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 유가 하락 디플레 우려…저물가 지속되나?
국제유가는 소비자물가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직접적으로는 휘발유, 경유 등 석유제품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떨어뜨린다. 간접적으로는 국제항공요금, 도시가스요금 등 석유제품 원가 비중이 높은 품목의 가격 하락에 영향을 미친다.
직·간접적인 1차 파급효과 이외에 2차 파급효과도 있다. 국제유가의 하락기간이 길어질수록 기대인플레이션과 근로자 임금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보면 0.6~0.7% 수준에 머무는 등 1958년 이후 57년 만에 최저치가 예상되고 있다.
정부가 연초부터 담뱃값을 1갑당 2500원에서 4500원으로 올린 것을 제외하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에 가깝다.
담뱃값 인상은 0.58%포인트의 물가 상승률로 이어졌으나 1년 넘게 계속돼 온 저유가의 영향을 피할 수는 없었다. 즉 물가가 오르지 않을 것이라는 심리가 확산되고 근로자 임금 상승률이 둔화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따라서 국제유가의 지속적인 하락은 디플레이션 우려를 또 다시 키울 수밖에 없다. 디플레이션이 지속되면 주가·부동산 값은 함께 떨어지고, 채무액의 실질가치가 늘어나는 등 주요 경제 주체에 큰 충격을 준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유가 등 원자재 가격 하락은 글로벌 경제의 디플레이션 압력을 높일 수 있다”며 “이로 인해 국내 석유·조선·철강·기계 등 관련 수출 경기 회복 시점도 지연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