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엽 "원격의료, 공공성 확충 위해 필요…의료영리화는 반대"

2015-08-24 19:00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앞서 긴장한 듯 얼굴을 만지고 있다. [사진=남궁진웅 기자 timeid@]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는 24일 "원격의료는 공공의료를 수행하는 유용한 수단"이라며 "의료세계화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필요하다"고 입장을 밝혔다.

정 후보자는 이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새정치민주연합 남인순 의원이 "원격의료에 대한 견해는 무엇인가"라고 물은 데 대해 이같이 답했다.

정 후보자는 "원격의료는 우수 의료인력과 정보통신(IT)를 융합해 의료서비스가 닿지 않는 도서 지역이나 군부대, 해양, 교정시설 등에 의료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며 "의료의 공공성 확충을 위해서도 필요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새누리당 김재원 의원이 정 후보자 내정을 두고 의료민영화를 추진하려는 인사라는 비판이 있다고 지적하자 "저는 의료영리화 자체에 반대하는 사람"이라면서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벤치마킹하는 보험체계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의료민영화는 필요한 정책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 당시 복지부가 병원 명단 공개를 지체시켰다는 의혹이 있다"는 김 의원의 지적에 대해서는 "정보공개가 지체된 일은 잘못된 일로, 이런 일이 생기면 지나칠 정도로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고 답했다.

제자 논문 표절 등 자신을 둘러싼 각종 의혹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해명했다.

정 후보자는 지난 2007년 정형외과학회지에 기고한 논문이 제자 논문을 표절했다는 의혹에 대해 "심려를 끼친 것은 송구스럽지만, 결론적으로 표절은 아니다"고 주장했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장 재직 시절 병원의 건강보험료 부당청구 액수가 3억원을 넘었다는 지적에는 "이런 일이 생긴 것에 사죄한다"면서 "이후 시스템적인 보완을 마쳤다. 앞으로 재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당시 일부 병원 의사들이 제약업계에서 리베이트를 받아 물의를 일으킨 것과 관련해서는 "매우 송구스럽다"고 사과하고 "교수들이 자세히 내용을 몰랐던 것이 문제인데, 이후 교수들에게 재발 방지를 강조하고 시스템도 정비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