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소 "코스닥시장 분리 효과 미미…지주사전환·IPO 추진 논의돼야"

2015-06-18 14:00

아주경제 이혜림 기자 = 한국거래소가 금융위원회가 추진 중인 코스닥 시장분리 계획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내놨다. 거래소 측이 코스닥시장 분리에 대해 공식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거래소 측은 또한 구조개편이 향후 거래소시장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사항이라면 지주회사제 전환과 기업공개(IPO)를 동시에 추진하는 개편 논의가 진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종남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 상무는 18일 금융투자협회에서 자본시장연구원 주최로 열린 '코스닥시장의 현황과 미래 발전과제 심포지엄'에서 "코스닥시장 분리 효과는 거의 없다"며 "무분별한 상장 허용으로 인한 투자자 피해 증가와 신뢰도 저하로 기업이 시장진입을 기피하게 되는 악순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서 상무는 이어 "전산이나 경영지원 등 중복투자로 인한 비용지출, 취약한 수익구조로 인한 누적적자로 인해 상장기업과 투자자의 비용부담이 증가할 것"이라며 "코스닥시장 분리로 현실화될 문제점은 명확하게 예측된다"고 밝혔다.

코스닥시장 분리론의 근거로 제시된 내용에 대해서도 조목조목 반박했다.

서 상무는 거래소 통합으로 코스닥 상장기업수가 감소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상장기업 수 감소는 벤처버블 붕괴로 통합전에 일어난 현상"이라고 말했다.

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 상장기업수는 1999년부터 2002년까지 연평균 150사에서 2003년 70사, 2005년 52사로 꾸준히 줄어들다가 2005년 통합 이후 연평균 56사(2011년 기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그는 "코스닥 분리론자들이 강조하는 2012(21사)~2013년(37사)의 경우 박스권 주가에 따른 낮은 공모가격을 이유로 상장을 기피하거나, 국내 기업의 성장률 저하 등이 주된 원인이라고 증권업계나 연구자료 등에서 평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2013년 모험자본활성화 정책에 따라 기술력있는 성장기업의 상장기회를 확대한 결과 2014년 68개사가 코스닥 시장에 상장됐고 올해는 130~150개사가 상장될 예정"이라며 "현재 코스닥시장 상장실적과 전망은 코스닥 분리가 상장활성화의 해답이라는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근거"라고 덧붙였다.

서 상무는 거래소와 통합으로 코스닥시장이 2부시장으로 전락했다는 의견에 대해서도 "통합전 2004년과 현재의 각종 지표를 비교해 볼 때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일축했다.

거래소 통합 전인 2004년 말 코스피 대비 코스닥시장 시가총액 비중은 7.6%에 불과했으나, 현재 14%로 2배 이상 증가해 심천거래소의 ChiNext(17%)에 이어 세계 2위 수준으로 올라섰다.

서 상무는 또 코스닥 분리로 코스닥시장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정면으로 반박했다.

그는 "코스닥 분리론은 코스닥과 코스피가 어떤 부분에서 경쟁하는지 혼동하고 있다"며 "코스닥 시장은 중소벤처기업 전용시장이고 코스피시장은 중견 대기업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중소벤처기업의 자금조달 및 상장부문에서 양 시장은 경쟁관계가 아니다"고 역설했다.

이어 "코스피와 코스닥이 독자 거래소로서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경쟁한다면 외국거래소 사례처럼 코스피 시장에 중소기업 전용시장을 개설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코스닥시장 분리에 따른 추가 비용 문제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서 상무는 "코스닥시장 분리시 시장운영비용 조달을 위한 확실한 대안제시 없이 현재의 상태를 전제로 한다면 독자생존이 불투명하다"며 "코스닥 분리로 인해 증권시장 전체가 부담하는 비효율, 비용 부담은 구조개편 논의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서 상무는 거래소시장 구조개편 방향에 대해 "구조개편이 향후 거래소의 시장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사항임을 고려한다면 지주회사제 전환과 기업공개(IPO)를 동시에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ATS 도입을 통한 경쟁 환경 조성, 글로벌 거래소와의 경쟁 등 거래소 산업 전반을 고려해 논의가 진행돼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