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리 미국 국무장관, "한·미 양국 북한정책, 한 방향 가고 있어"

2015-05-19 08:00
윤병세 장관과 회담후 "한·미동맹은 강력, 일본과 방위 협력지침 한국정부 승인 없인 안돼"

아주경제 김동욱 기자 =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은 18일 "북한의 도발과 핵프로그램에 대해 미국과 한국간에는 전혀 이견이 없다"면서 "모든 대북 정책에 있어서도 우리는 같은 방향으로 나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케리 장관은 이날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외교장관 회담을 가진 후 공동기자 회견을 통해 이같이 강조했다. 

이날 회담에는 우리측 윤병세 장관을 비롯해 조태용 외교부 1차관,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신재현 외교국 북미국장 등 11명이 참석했다. 미국측은 존 케리 국무부 장관과 대니얼 러셀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등 11명이 자리를 함께 했다.

양국 장관들은 공동기자회견에서 ▲한미동맹의 역활 확대 ▲북한의 위협에 대한 대처 ▲박 대통령의 방미 문제 ▲한일관계 진전 방안 등에 대해 설명했다.
 

한국을 방문한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과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외교부 국제회의장에서 한미 외교장관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남궁진웅 기자 timeid@]


케리 장관은 최근 일본과 체결한 미·일 방위협력지침(가이드라인) 개정에 대해서도 "방위 협력지침은 아주 오랜 시간 한국 정부와의 대화 후에 나온 것"이라며 "일본이 국제법에 위배 되는 일을 하거나 대한민국 정부가 승인하지 않는 행동을 하는 것은 절대로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케리 장관은 청와대에서 박근혜 대통령을 예방하고 양국간 경제현안과 최근 복잡하게 전개되는 한반도 및 동북아 정세를 주제로 대화를 나눴다. 

박 대통령이 케리 장관을 접견하는 것은 지난해 2월 이후 1년 3개월 만이다.

박 대통령과 케리 장관은 중국이 추진하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에 대한 공조방안과 미국 주도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의 조속한 출범에 한·미 양국이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 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존 케리 미국 국무부 장관이 18일 오전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회담에서 밝게 웃고 있다.[남궁진웅 timeid@]


또 양국 간 굳건한 한미동맹을 확인하고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사출시험과 서해북방한계선(NLL) 인근 사격시험 등 최근 잇따른 북한의 도발 위협에 대해 빈틈없는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단호하고 강력하게 대응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또한, 북한의 비핵화와 인권문제와 관련한 미국측의 입장도 청취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내달 중순 미국 방문을 앞두고 있는 박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과 더불어 한일관계 진전 방안과 한미일 3각 협력 등 동북아 정세에 대해서도 대화를 나눈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케리 장관은 한미 외교장관 회담 이후 대학 강연, 한미연합사령부 방문 등의 일정을 소화하고 이날 오후 7시 서울공항에서 전용기를 타고 미국 알래스카로 출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