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한국경제 해법은?… 대기업 사업개편 활발·정부 규제개선 요구

2015-04-27 18:00

[사진=아이클릭아트]

아주경제 이재영 기자 = 환율 불안과 수출대상국의 경기둔화 등 한국경제의 고민이 깊어지는 가운데 기업들은 활발한 사업개편으로 해법 찾기에 나서고 있다.

기업들은 이러한 구조 혁신 등 자구 노력에 호응해 정부도 규제 개선 등 제도적으로 경제활성화를 지원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27일 재계에 따르면 지난해 시작된 삼성발 사업개편 작업은 SK, 현대차 등 다른 기업집단으로 확산되는 분위기다.

경제위기가 장기화되면서 재무상태가 나빠진 부실기업을 매각하는 등 구조조정의 성격이 크지만, 미래형 가치 창출에 유리한 제조‧서비스 융합, 선택과 집중 등 기업 체질 개선의 의미도 있다.

삼성SDS와 제일모직 등 비상장 주력 계열사를 상장한 삼성은 이를 통해 확보한 신규 투자금으로 신성장동력을 찾는다는 방침이다. 또 화학과 방산 비주력 계열사를 한화에 매각 결정하는 대신 해외 IT기술 벤처 등을 다수 인수하면서 사물인터넷, 스마트홈 등 미래형 플랫폼 산업 위주 IT‧소재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현대차그룹도 현대제철과 현대하이스코간의 합병을 결정했다. 합병 기업은 글로벌 10위권인 연매출 20조원 규모의 철강회사로 거듭나 갈수록 악화되는 글로벌 경영환경에 대처해 나갈 것으로 보여진다.

최근 SK도 SK C&C와 SK 지주회사의 합병을 결정, 옥상옥 지배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의사결정 속도를 높이고 IT서비스업과 에너지‧화학 계열사 간 사업적 융합 시너지를 내기로 했다.

기업들의 매출 및 자산 증가율 등 성장성 지표는 5년 연속 하락세이지만, 주요 기업들이 이처럼 합병과 매각 등을 추진하면서 재무구조는 한층 안정됐다. 국내 기업의 부채비율이 2011년 83.8%의 정점에서 하락해 지난해 67.8까지 낮춰졌다. 차입금 의존도도 2011년 21.4%에서 지난해 20%로 개선됐다.

기업들은 이러한 사업개편을 통한 기업 경쟁력 강화 노력이 더욱 활기를 띠도록 정부의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기업들의 신속한 사업 구조개편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내용의 ‘사업재편지원특별법(원샷법)’을 조속히 마련해 줄 것을 요청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배출권거래제가 기업들의 신규 설비투자 계획의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며 투자 활성화 대책 차원에서 규제 개선을 건의했다.

그도 그럴 것이 중국의 자급력 확대 등으로 야기된 글로벌 공급과잉 상황에서 기업이 택할 수 있는 선택지는 구조조정뿐 이라는 지적이다.

신창타이로 대변되는 중국경제는 수출 중심에서 내수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교역방식도 가공무역에서 탈피해 소비재 수입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한국의 대중 수출은 자본재 비중이 높아 상당기간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점쳐진다.

도요타자동차 등 엔저에 힘을 얻은 일본 수출형 대기업은 경영실적이 호전되고 있어, 한국 기업과의 수출 경합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일본 기업들은 시장점유율을 늘리기 위해 엔저를 활용해 수출가격 인하폭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닛산은 독일에서 신차 가격을 2000~4000 유로 인하했으며, 마츠다는 신차 구입 시 3000 유로를 지급하는 등 판촉 활동을 벌이고 있다. 소니도 싱가포르에서 중저가 휴대폰을 중심으로 가격인하 판매를 실시하고 있다.

코트라는 이러한 시장 상황에서 기업들이 전략 제품의 선택과 집중을 통해 수익성 추구 전략을 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실제 포스코가 고수익 제품을 뽑아 전략 제품군으로 분류하고, 그 제품군의 판매에 집중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전년대비 각 5.2%, 7.3% 성장한 것을 예로 들었다.

오세환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중국의 산업구조 고도화에 대응한 고부가가치 수출상품 개발, 한-중 FTA 활용방안 마련, 전자상거래 채널을 활용한 중국 내수시장 공략 등의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안중기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중국의 성장세가 둔화하고 한-아세안 교역이 증가하고 있다”며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을 전략적 거점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