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중남미 시장 공략위한 전략적 접근 필요

2015-04-16 06:00

아주경제 양성모 기자 = 전경련은 인구 6억명, 국내총생산(GDP) 6조 달러의 새로운 성장엔진 중남미시장에 대한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16일 밝혔다.

우선 전경련은 일본과 중국 등 경쟁국과 협력해 중남미 인프라 시장에 진출할 것을 조언했다. 이는 전 세계 인프라 시장이 점차 융합화, 대형화 되고 있어 여러 국가, 기업이 협력하여 위험을 분산시키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서다. 특히 자금력에서 밀리는 한국기업으로써는 풍부한 자금을 갖춘 중국과 일본과 협력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전경련은 일본 및 중국 기업과의 공동 진출을 위해 한중일 3국의 금융기관들이 공동으로 대출과 보증을 제공하고 있어 이를 활용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이미 3국이 기업이 인프라 시장에서 협력한 사례가 있는 만큼, 향후에도 서로 간 협력을 통한 진출이 우리기업의 수주 가능성을 높여 줄 것이란 전망에서다.

또 중남미국가는 무선통신 인프라 확충, 전자정부 등 국가 차원의 ICT 인프라 구축을 추진 중인 만큼 우리나라에 있어 절호의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한·중남미 ICT장관포럼 개최 등 정부간 ICT분야 협력이 지속되고 있어 관심기업의 참여를 통해 사업기회를 찾을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중남미 지역 콘텐츠 시장 성장률은 10%대로 드라마 등 한류를 활용한 콘텐츠 수출길도 열릴 것으로 전망했다.

전경련은 전자상거래를 통해 중남미 시장에 진출하는 것도 한 방법으로 제시했다. 중남미 지역의 전자상거래 규모는 3320만 달러로 한국의 2020만 달러보다 크다. 인구의 과반수가 30세 미만인 인구구성, 스마트폰 보급 확대 등으로 중남미 지역의 향후 전자상거래 성장잠재력도 높다. 한미 FTA 타결 이후 한국에서 미국직구가 증가한 것처럼, 중남미의 한국제품 역직구 시장을 공략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전경련은 현지화 전략도 병행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일본이나 중국기업보다 한국 기업이 뛰어나다는 것이다. 특히 브라질에서 한국기업은 현지화 전략을 통해 문화적 차이와 지리적 거리를 극복하고 브라질 시장에서 경쟁국을 제치고 성공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정부에서는 FTA 체결과 정책적 금융 지원으로 중남미 시장을 국내기업들이 적극적 진출할 수 있도록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경련은 FTA체결을 통한 진출 전략도 조언했다. 중남미 주요국가의 비농산물 양허관세율은 평균 25% 이상으로 매우 높은 편으로 특히 Mercosur(브라질, 아르헨티나, 베네수엘라, 우루과이, 파라과이)국가는 보호무역주의가 강한 경향이 있어 조속한 FTA 체결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정부의 정책 금융 지원도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중남미 건설 규모는 올해 7000억 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돼 우리 기업들이 놓치면 안 될 시장이다. 하지만 자금 조달력이 열세한 한국 기업은 경쟁국에 비해 불리한 여건에 놓여있다고 설명했다..

전경련은 “우리나라도 최근 향후 5년간 10억 달러 규모의 정책금융을 지원하겠다고 밝히고 있어 기대가 된다”면서도 “정상외교를 비롯한 전방위적인 진출 전략을 기업과 정부가 같이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