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세대별 수요 대응..'생애주기 도시모델' 선도한다

2015-04-15 14:26

[사진=수원시청 제공]


아주경제 김문기 기자 =경기도 수원시는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가구 규모 축소 등 사회구조 변화에 따라, 유아 청소년 성년 노년 등 세대별 행정수요에 대응하는 생애주기 도시 모델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이용호 시 도시정책실장은 15일 시청에서 열린 정책브리핑에서 “인구 유지와 새로운 인구 유입으로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선순환 구조를 위해 도시정책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한 때”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를 위해 영·유아 비율이 높은 영통구에 어린이집과 아동복지시설을 우선 배정해 젊은 부모 세대의 보육 서비스 수요를 충족시키고, 고령인구 비율이 높은 팔달구는 노인복지시설로 노년 세대 복지수요를 해소할 계획이다.

주거지역이 밀집한 행궁동 평동 서둔동에는 생활권 공원을 조성해 여가 휴식시설을 확대하고, 인계동 권선1동 세류1동에는 거주민 연령층에 맞게 특화한 도서관을 추가하기로 했다.
권선구 서남부 지역에 종합병원을 유치해 의료복지 부족을 해소하고, 위치가 편중돼 주민 접근이 불편한 연무동 인계동 영통2동 서둔동 등의 주민센터는 입지를 조정해 주민 불편을 덜기로 했다.

저출산과 고령화에 대응해 일본의 경우 공공시설을 철도역 주변으로 집약하는 등 재배치로 생활권을 조정하고, 영국에서는 폐발전소를 미술관으로 독일에서는 폐기된 가스탱크를 문화예술공간으로 용도를 전환했다.

도시재생 사업은 결과 중심에서 지속가능 도시관리로 전략을 전환, 원도심 정비과정에 주민 행정 외부전문가 등이 머리를 맞대고 협의하는 기구를 운영해 정비를 마친 뒤에도 지역의 공동체 활동이 지속되도록 할 계획이다.

시는 도시재생 전략 적용지역을 인구와 사업체가 감소하는 지역, 노후주택이 증가하는 지역 등으로 선정하고 이러한 전략을 추진하고 관리할 지속가능도시재단을 설립할 예정이다.

시는 또 도시계획시민계획단을 올해 130명에서 300명으로 규모를 확대 △군공항 이전부지 개발 △동서 균형발전 △성매매집결지 정비 △그린벨트 활용 등 주요 의제를 시민과 함께 결정하는 민·관 거버넌스 도시모델을 발전시킨다.

수원역 성매매 집결지는 상업기능이 강화되고 배후 주거지 정비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점을 감안 젊은 문화와 상권이 공존하는 지역으로 특화하고, 수원비행장 부지는 지역경제를 일으킬 수 있는 첨단과학도시로 꾸밀 계획이다.

이 실장은 "수원 공군비행장 이전 사업은 지난달 신규 공항 건설계획과 종전부지 활용방안 등을 담은 최종건의서를 국방부에 제출했고, 올 하반기 예비후보지 2∼3곳 발표에 이어 주민투표 또는 유치신청 등 절차를 거쳐 2017년 말 이전부지가 확정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