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6조 달러 중국 내수시장 전략…성공 키워드는

2014-09-15 07:45
내년 중국 내수시장 5조7000억 달러…세계 2위로 부상
소비성향 고급·다양화…건강식품·친환경 제품 수요 급증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우리 정부가 6조 달러의 중국 내수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전략에 잰걸음을 보이고 있다.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중국 교역을 확대하겠다는 복안이다.

이에 따라 정부가 마련한 성공 키워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중국 내수시장을 공략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핵심 골자다. 중국 내수시장 진출 확대를 통해 우리경제 성장동력을 이끌어 내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자칫 성급하게 진출을 모색하거나 단기적 전략에 치중할 경우 글로벌 경쟁력에서 밀릴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 세계 2위 소비시장 중국…양적 확대에 주목

중국 내수시장은 소득증가, 도시화 확산 등으로 급속히 확대되는 중이다. 국내외 주요 경제전문기관에서는 중국이 내년에 세계 2위 소비시장으로 부상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 따르면 2013년 4조7000억 달러였던 중국 내수시장은 2015년 5조7000억 달러, 2020년 9조9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같은 소비시장 증가는 새로운 소비채널인 온라인마켓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인터넷보급이 지난해 45.8%로 증가하면서 전자거래 확대가 이뤄지고 있다. 온라인시장 규모 역시 1조3000억 위안으로 약 7800억 달러에 육박한다.

소비성향의 고급화와 다양화도 눈에 띈다. 중국내 고소득층·젊은 소비층 등장으로 고급재와 서비스 수요가 대폭 상승하는 추세다. 세계 고급소비재인 명품제품 시장은 지난해 약 2170억 유로였는데 이 가운데 중국인 소비가 28%를 차지했다.

잦은 식품안전 사고 등으로 안전식품이 선호되고 삶의 질 향상으로 건강식품, 웰빙, 친환경 제품 수요도 중국 시장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중국 정부 역시 거대해진 소비패턴에 맞춘 ‘내수주도’ 정책으로 성장모델을 전환 중이다. 가공무역을 축소하고 제조업 업그레이드 전략도 이와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또 2020년까지 도시화율 60%를 목표로 환경오염·에너지 문제해결을 위한 도시 인프라 구축과 중서부 내륙개발 추진은 중국 내수시장이 더 확대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중국 내수시장은 양적확대와 질적 변화가 빠르게 이어지고 있다”며 “이에 대응한 전략이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공장특화형 중심구조 탈피 관건…패러다임 전환 절실

중국 시장은 우리 기업이 상당수 포진 돼 있다. 다만 지금까지 공장 중심의 수출구조에 집중돼 소비시장은 외면됐다.

우리 정부 역시 이같은 위기 의식이 높다. 소비재 수출, 서비스 투자가 미흡하다고 판단해 패러다임 전환 없이는 경쟁력을 높일 수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 중국 소비시장 4조7000억 달러 대비 우리 소비재 수출규모는 중국 수출의 3.2%, 47억 달러에 불과하다. 향후 중국시장 확대의 기회요인으로 활용하기에는 턱없이 모자란 수치다.

더구나 최근 강점이던 스마트폰과 조선업 등 주력품목이 중국기업에 역전되고 1~5월 상반기 중국 수츨 증가율이 0.1에 그치면서 다른 해법을 제시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정부 관계자는 “온라인을 포함한 현지 유통체계 미비, 중국시장 정보부족과 서비스업 지원 부족, 검역 등 비관세 장벽이 주요 애로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현재 3%대의 최종소비재 수출을 최소 2배 이상 확대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