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 '운영리스크' 관리 부실…금감원, 엄중 조치
2014-07-21 07:41
아주경제 김부원 기자 = 국내 주요 은행들이 운영리스크를 부실하게 관리해왔던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당국은 이에 대한 실태점검 등을 통해 엄중히 조치할 방침이다. 운영리스크는 직원의 잘못이나 시스템 오류 등 금융사고로 인해 직접적인 손실을 입을 수 있는 위험을 말한다. 기업 부도에 따른 채권회수 불능 등을 의미하는 신용리스크, 은행이 투자목적으로 보유한 주식·채권·파생상품 등의 손실 위험을 반영하는 시장리스크와 함께 3대 위험으로 꼽힌다.
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신한·우리·하나·외환·국민·기업은행 등 6개 은행은 운영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지난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자체 모형을 개발해 감독당국의 승인을 받았지만 이를 부실하게 운영해왔다.
이들 은행이 승인받은 관리시스템은 평소 은행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고 작은 위험 요인들을 수치화해 더 큰 금융사고를 막는 데 활용된다.
상당수 글로벌 은행들은 대외신인도를 올리고 국제결제은행(BIS) 비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이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은행들은 감독당국으로부터 승인을 받을 당시보다 운영리스크 관리를 위한 전담 인원을 크게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은행은 2008년 전담 인원을 10명 이상 두는 것으로 보고했지만 실제 인원은 절반 가량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나은행과 우리은행 등도 전담 인원을 당초 계획보다 줄였다. 일부 은행은 운영리스크 담당자로 업무 경험이 거의 없는 신규 전입 직원이나 직급이 낮은 직원을 배치했고, 담당자도 수시로 교체했다.
2010년에는 은행 공동으로 리스크 지표를 만들었으나 업데이트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리스크에 대한 자가 진단 역시 형식적으로 이뤄졌다.
이에 금감원은 은행들이 전담 인력을 늘리고 전담 조직의 권한을 확대하는 등 운영리스크 관리시스템을 철저히 운영하도록 강력히 지도하기로 했다. 또 감사실, 준법지원실과의 원활한 데이터 공유를 통해 내부통제를 단속하고 해외 영업점에 대해서도 본점에서 모니터링하도록 지도해 나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