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도로 상황 감지해 사고 예방하는 차세대 ITS 개발 협력

2014-05-11 11:00
추돌·충돌사고 유형 81% 예방 가능, ITS 협력회의 개최

차세대 ITS 개념도. [이미지 제공 = 국토교통부]

아주경제 이명철 기자 =지난 2010년 7월 인천대교에서 발생한 마티즈 2차 사고 등 충둘·추돌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세대 지능형교통체계(ITS) 도입이 추진된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12~14일 서울지방국토관리청 회의실에서 미국 교통부와 함께 한·미 ITS 협력회의를 개최한다고 11일 밝혔다.

이 회의는 2012년 8월 C-ITS 기술개발과 국제표준 공동대응에 대한 협력을 목적으로 양국이 체결한 양해각서(MOU) 후속조치다. 우리나라는 국토부 김일평 도로국장을 대표로 ITS 관련 공무원 및 전문가 10명이 참석한다. 미국은 교통부 산하 연구개발혁신청장 그래고리 윈프리 청장(차관보) 등 5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는 미국과 유럽에서 도입을 추진 중인 C-ITS 협력방안이 논의된다. C-ITS란 급정거·정차차량·사고상황·도로상장애물 등 교통사고 위험요인 정보를 확인해 사고를 예방하는 협력형 ITS다.

미국과 유럽 등은 2016년 하반기부터 생산·판매되는 차량에 안전벨트·에어백과 같은 안전창치로 C-ITS의 의무 장착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 연구결과에 따르면 C-ITS로 추돌·충돌사고 유형의 81%를 예방 가능하다.

인천대교 교통사고는 마티즈가 톨게이트를 통과 후 고장으로 비상정차 한 것을 1t 탑차가 추돌해서 발생했다. 뒤따라오던 버스도 마티즈를 뒤늦게 발견하고 고장차 추돌 후 가드레일에 부딪혀 추락했다. 이 사고로 14명이 사망하고 10명이 중상을 입었다.

차세대 ITS를 통해서는 우선 도로상태 경고를 보내주고 위험구간에서는 주행을 지원할 수 있다. 위급상황을 자동 통보하고 긴급차량 통행을 지원하거나 긴급제동도 가능하다.

국토부 첨단도로환경과 관계자는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내 완성차 및 부품업계 등 자동차 산업의 특성상 미국·유럽의 자동차 안전규제 동향파악과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며 “이번 회의를 통해 국내 자동차 산업과 부품·ITS장비 업계 등 관련 산업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