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산업 및 공간정보·ITS 등 신성장 동력 창출 적극 나선다

2014-01-15 11:00
국토부, 창조경제 기반구축 위한 분야에 예산 투자 강화

아주경제 이명철 기자 =정부가 해외건설 투자개발형 사업 진출 확대와 공간정보·지능형교통시스템(ITS) 등 첨단 기술 육성 등을 통한 신성장 동력 창출에 적극 나설 예정이다. 사회간접자본(SOC) 투자의 패러다임이 생활밀착형으로 변화함에 따라 대형 프로젝트 중심 연구개발(R&D)도 복지향상, 안전성 제고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방향으로 추진된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예산을 부가가치가 높은 분야에 투자해 창조경제 기반구축을 위한 투자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15일 밝혔다.

우선 해외건설의 경우 개발협력을 통해 수주저변을 확대하고 다양한 정보·기술·금융 지원으로 진출 기반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개발도상국에 인프라 마스터플랜을 수립해주고 후속 수익사업 발굴 시 기술·금융 등을 지원하는 인프라 마스터플랜사업 예산을 지난해 31억원에서 올해 50억원으로 늘렸다. 해외건설 진출 유망국의 고위급 인사 및 주한 공관원 연수도 확대한다.

수익성이 높은 투자개발형 사업 진출을 위해서는 글로벌인프라펀드를 총 400억원 올해 400억원 출자를 완료하고 운영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 펀드는 2009년 4000억원을 조성·운영 중이다. 다음달에는 해외건설정책지원센터를 건립해 리스크 컨설팅 등을 수행하게 된다.

중소·중견업체의 경우 해외건설현장 신규 채용 인력에 대해 1년간 훈련비를 제공하고 해외건설 시장개척자금도 지원한다. 수주 가능성이 높은 사업을 적극 발굴할 수 있도록 타당성 조사 지원 규모도 건당 2억원에서 3억원으로 확대했다.

미래 신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먼저 고품질 공간정보와 빅데이터 체계를 구축·개방해 민간과 공공의 활용을 촉진할 계획이다.

서울·수도권 등 30여개 도시에는 3차원 공간정보, 수도권 지하철역 등 수요가 높은 지역에는 실내공간정보를 선정·구축한다. 2016년까지는 국토교통 전 분야의 빅데이터 체계를 단계적으로 구축하고 3차원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인 브이월드를 통해 정보를 개방한다. 이렇게 되면 부동산 분야는 임차시장 수표패턴 분석이 가능해지고, 교통은 혼잡도 분석을 통해 고품질 도로교통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신규 창업기업의 중소기업청 창업보육센터 입주를 지원하고 공간정보 특성화고교 및 취업예정자 고용연계 아카데미 등을 운영할 예정이다.

차량과 차량, 차량과 도로시설간 실시간 정보 전달로 교통사고를 줄이고 교통소통을 원활하도록 하는 기술인 ITS는 올해 30억원을 들여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앞으로는 시범사업을 고속도로(2017~2020년) 중소도시(2021~20130년)로 확대할 계획이다.

항공산업은 항공레저스포츠 제전, 체험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활주로·이착륙장·견납고·편의시설을 갖춘 종합시설단지인 항공레저센터를 설립한다. 항공정비업 기술의 국산화도 추진한다.

신규 R&D는 스마트하이웨이, 자기부상열차 등 대형과제가 마무리됨에 따라 생활 밀착형으로 전환해나간다.

층간소음해소 및 장수명 주택모델과 교통약자 보행지원 시스템을 개발하고 물관리·교통안전성·항공안정 기술 등에 지속 투자할 계획이다. 중소기업을 위해서는 창업사업화 지원센터를 운영하고 기술사업화 지원 예산도 확대한다. LNG 플랜트와 해수담수화 기술 등도 적극 개발할 계획이다.

국토부 재정담당관실 관계자는 “양적 경제성장을 지원하는 인프라 투자에서 질적성장과 국민 행복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전환하기 위해 미래 신성장동력 발굴과 지원이 시급하다”며 “R&D 투자의 단계별 평가, 공간정보산업 중복성 검토, 해외건설시장개척 자금지원 효과성 평가 등을 통해 투자효율성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