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자재업계, 중기적합 지정 촉구에 ‘골머리’

2014-03-05 15:47

아주경제 전운 기자 = 대형 식자재업체들이 진퇴양난에 빠졌다.

식자재업을 중기적합업종으로 추진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됐기 때문이다. 지난 몇년 동안 지역 중소상인들과 마찰을 겪다 최근 가까스로 진화에 성공한 식자재업계로서는 생존에 적신호가 켜진 상황이다.

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들어 지역 중소상인 중심으로 식자재·급식사업을 중기적합업종으로 지정하려는 움직임이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 상인들은 "국내 대기업들의 식자재 사업 지난해 기준으로 10조원에 육박하고 지난 2005년 이후 연평균 16.4%씩 성장하고 있다"며 "대기업들이 돈 되는 식자재 사업에 뒤어들어 영세상인들의 몫을 빼앗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식자재업에 진출해 있는 대기업은 CJ프레시웨이·아워홈·웰스토리(삼성에버랜드)·신세계푸드·대상베스트코·동원홈푸드·현대그린푸드·농협유통 등이다.

이처럼 대기업들의 진출이 거세지자 전국유통상인연합회는 지난해 9월 동반성장위원회에 식자재업에 대한 중기적합업종 지정을 신청했다.

지난 3일에는 "지금까지 지정된 중기적합업종은 제조업과 일부 소매업에 머물러 있다"며 "대기업이 식자재 도매업 등 전통적인 업종에 진출해 영세 도매업자 생계를 빼앗고 있지만 도매업 적합업종 지정은 진전이 없다"며 중기적합업종 지정에 대한 성명서를 발표했다.

중소상인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대기업들은 진땀을 흘리고 있다. 대형 식자재기업들은 이미 ​지역 중소상인들과 마찰로 한차례 홍역을 치른 바 있다.

지난 20012년 대상베스트코, CJ프레시웨이 등은 지역 유통상인연합회와 법적 공방까지 펼쳤다. 중기청에 접수된 식자재 관련 사업조정신청은 부산, 수원 등지에서 10여건이 넘었고, 일부 지역 상인들은 포크레인까지 동원해 대기업들의 영업장을 막는 등 갈등이 극대화됐다.

상황이 이렇자 대형 식자재업체들은 지난해 지역 중소상인과의 상생에 중점을 두고 갈등 해결에 나섰다.

실제로 대상베스트코 등은 지역 중소상인들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등 진화에 나섰다.

하지만 전국유통상인연합회가 중기적합업종 지정을 촉구하면서 대기업과 중소상인과의 갈등은 재점화될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식자재업계 관계자는 "대기업들이 해당 지역 상인들과 협의를 통해 상생 발판을 마련한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임시방편이다"며 "중소상인들의 움직임이 점점 거세지기 때문에 동반위가 이를 받아들인다면 대기업들의 설 곳은 더욱 좁아지게 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중기적합업종으로 지정된 제과·외식업 등은 신규 출점 등이 규제돼 가맹점 수 감소 및 매출 하락 등의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