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김정일, 정치권의 향방은

2011-12-22 18:40

(아주경제 박재홍 기자)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에 따른 후폭풍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정치권이 본격적인 대책마련에 나섰다.
 
 전날 김 위원장의 조문 문제를 둘러싸고 갈등 조짐을 보였던 여야는 22일 이와 관련한 언급을 자제한 채, 향후 대책에 대한 부문에 초점을 맞췄다.
 
 여야3당 대표는 22일 청와대에서 이명박 대통령과 회동을 갖고 김 위원장의 사후 대책에 대해 논의한 데 이어 오후에는 본회의를 열고 논의를 이어갔다.
 
 전날까지 국회 조문단을 구성해 보내야 한다고 주장하던 민주통합당과 이에 대한 반대의사를 명확히 했던 박 비대위원장 모두 향후 여론을 의식해 자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여야 모두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둔 상태에서 북한 문제를 두고 싸우는 모습을 보일 경우 정치권 전체에 비판의 여론이 쏟아질 수 있다는 판단이 암묵적으로 논쟁을 피하는 결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지난 1994년 김일성 주석의 사망 당시 비슷한 논쟁으로 인해 불러왔던 부정적 여론의 경험도 이 같은 행동의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결국 총선이라는 큰 목적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여야 모두 김 위원장의 사망으로 인한 충돌은 결국 ‘남남갈등’으로 비춰져 여론의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며 “한나라당은 비대위 체제가 완전히 정착되지 않은 상황이고, 야당은 전당대회를 앞두고 있는 상태에서 여야 갈등 자체에 대한 부담도 조문정국을 피해 가도록 만들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사망 다음날인 지난 20일 국회 정상화를 두고 대립을 이어왔던 여야 원내대표가 만나 국회 정상화에 긴급하게 합의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된다.
 
 다만 민주통합당에서는 이번 문제를 계기로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지적하며 대여 공세를 늦추지 않고 경계를 이어갔다.
 
 김진표 당 원내대표는 이날 고위정책회의에서 제한적 조문만을 허용한 정부의 조치에 대해 “주변 강대국들은 자국의 국익을 위해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는데 우리 정부는 대화를 제안한다든지 대북 강경책을 수정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사장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노영민 원내수석부대표는 “박근혜 비대위원장의 발언을 보면 이념적 성향이 이명박 대통령보다 나을 게 없다. 이 대통령보다 더 오른쪽에 가 있다고 판단이 된다”며 박 위원장을 향한 공세를 폈다.
 
 아울러 국정원의 정보라인 부재에 대한 비판이 이어지는 가운데 자유선진당 박선영 의원이 이날 “국가정보원과 외교통상부가 17일 오전 김 위원장 사망에 대한 첩보를 입수했고, 국정원은 청와대에 보고까지 했으나 청와대가 묵살했다”고 주장함에 따라 이와 관련한 파장도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