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건설시장 걱정…그래도 희망을 캔다면

2010-11-30 20:53

이홍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원전공사 수주 계약이라는 쾌거로 시작된 올해 해외건설은 수주액 700억 달러를 넘어서는 금자탑을 세울 전망이다. 하지만 이와는 달리 국내 건설시장의 어려움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확대된 재정투자에 힘입어 늘어났던 공공공사 발주가 다시 축소되고 민간 건설경기 회복 속도도 여전히 더디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러한 국내 건설시장의 부진이 내년에도 지속될 것이라는 점이다.
 
 우선 공공공사 수주가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감소로 내년에도 감소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SOC 예산은 전년과 비교해 8000억원이 줄었다. 4대강사업 예산 3조2800억원을 제외하면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이전인 2008년 수준이다. 본격적인 출구전략이 진행되는 것이다. 신규 도로사업 예산이 사상 최초로 전무한 것을 비롯해 신규 사업에 투입되는 예산도 급감했다. 교통분야 SOC 예산 중에는 철도분야만이 유일하게 예산이 늘어 2011년 공공 토목수주는 철도를 제외하고는 모두 큰 폭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반면 내년도 공공 건축공사 수주는 토목공사와 달리 비교적 양호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방 이전 공공기관들이 내년부터 청사 발주를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공공기관은 124개 기관이며, 지난 9월 말 기준으로 76개 기관이 청사설계를 하고 있어 내년부터는 발주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행복시도 올 연말 청사 2단계, 내년에 청사 3단계 공사가 발주될 예정이다. 행복·혁신도시 이외 지역으로의 개별 이전 기관도 16개나 됨을 감안하면 내년도 공공부문의 비주거 건축공사 발주는 경상금액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민간 건설시장 특히, 주택시장도 내년에는 소폭이나마 회복세를 보일 전망이다. 수요측면에서 보면 서울의 멸실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소형 주택 구매 및 도심 이주 수요도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급측면에서는 예년 30만가구 수준에서 공급됐던 입주물량이 19만가구 수준으로 급감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그동안 건설사들이 택지를 확보하고도 분양을 연기해 왔던 주택 분양 물량이 다소 증가할 것이다. 공공부문 주택 공급 역시 내년에는 소폭 증가해 주택수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보금자리주택이 올해 18만가구보다 조금 더 늘어난 21만가구가 공급될 것으로 보이며, 2기 신도시 주택공급 역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토지주택공사의 부채 문제가 변수로 작용할 수 있지만 올해 주택공사 발주물량이 극도로 위축된 것을 감안하면 내년에는 발주물량이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서울시의 공공관리자제도 시행으로 재개발·재건축 수주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재개발·재건축 수주 중 서울시 사업의 비중이 60∼70% 정도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공관리자제 시행으로 지난 10월 이후에는 서울시의 재개발·재건축 시공사 선정 시기가 조합설립 이후에서 사업승인 이후로 늦어졌다. 통상 조합설립인가에서 사업승인까지 1년 정도 소요되기 때문에 내년 재개발·재건축 수주가 많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더구나 공공관리자제 시행이 처음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서울시 재개발·재건축 감소 기간은 1년 이상 지속될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상황을 종합해 볼 때 내년 국내 건설수주는 전년 대비 4.5% 감소한 112조원을 약간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2008년 이후 4년 연속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는 모습이다. 해외건설 수주가 내년에도 700억달러 달성이 무난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호조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과 비교된다. 해외건설은 현재 수주를 견인하고 있는 중동 지역의 공사 발주가 향후 3∼4년 간은 호조세를 지속할 전망이고 아시아를 비롯해 중남미, 아프리카 등 신흥국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향후에는 국내 건설업체들이 얼마나 성공적으로 해외건설 공사를 확보하느냐에 따라 매출 순위도 뒤바뀔 것이다. 침체가 지속되고 있는 국내 건설시장도 주택시장 정상화와 더불어 SOC 예산 축소에 대응한 민자사업 활성화 등을 통해 조속히 정상화가 이뤄지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