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은 이날 북한군 참전 개시 보도와 관련해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이 지난 2주간 쿠르스크 지역으로 이동하여 전장에 배치를 완료했다"면서 "추가적인 관련 첩보와 정보를 수집, 분석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국방부와 외교부가 이날 낮까지 북한군의 전투 참여 여부에 대해 "실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원론적인 입장을 보였으나, 이후 국정원의 공식 확인이 이뤄진 것이다.
이와 관련 베단트 파텔 미 국무부 부대변인은 12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쿠르스크로 이동한 북한군이 "러시아군과 함께 전투 작전에 관여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며 북한의 전쟁 개입을 공식화한 바 있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이날 벨기에 브뤼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본부에서 기자들을 만나 단호하게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정부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을 실현할지는 아직 미지수다. 정부가 '북한군 파병'을 미국보다 며칠 앞서 공식 발표했으나, 최근 들어선 신중한 기류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러-우 전쟁의 빠른 종식을 천명해온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미국 47대 대선에서 승리한 게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정부는 지난달 22일 "북한의 전투 병력 파병에 따른 러·북 군사협력의 진전 추이에 따라 단계적 대응 조치를 실행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이날 외교부 당국자는 "러·북 군사협력의 진전 추이에 따라 단계별로 국제사회와 함께 필요한 조치를 취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도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에 대해 "(미 행정부) 출범 과정에서 한미 간 정책 조율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정보기관의 심리전에 말려 들지 마라.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이스라엘 총리의 공통점은 전쟁을 정권 유지의 도구로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