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적인 더위에 온열질환 사망자 증가세… 누적 질환자 2700명 넘어

2024-08-17 17:19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올여름 기록적인 열대야가 이어지는 등 무더운 날씨 탓에 온열질환 환자가 늘고 있다.

    17일 질병관리청의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에 따르면 전날 하루 온열질환자가 43명 발생했으며,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가 1명 추가로 발생해 총 23명으로 늘었다.

    이로써 올해 감시체계가 가동된 5월 20일부터 전날까지 누적 온열질환자는 2704명이다.

  • 글자크기 설정
 
이미지 확대
연일 폭염이 계속되고 있는 16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대로 위로 지열에 의한 아지랑이가 피어오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연일 폭염이 계속되고 있는 16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대로 위로 지열에 의한 아지랑이가 피어오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올여름 기록적인 열대야가 이어지는 등 무더운 날씨 탓에 온열질환 환자가 늘고 있다.

17일 질병관리청의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에 따르면 전날 하루 온열질환자가 43명 발생했으며,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가 1명 추가로 발생해 총 23명으로 늘었다.
이로써 올해 감시체계가 가동된 5월 20일부터 전날까지 누적 온열질환자는 2704명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13.8% 많은 수치다.

일일 온열질환자는 이달 11일 기준 58명에서 12일 113명으로 급증했다가 13일부터 나흘째 매일 줄어들고 있다.

그러나 전날 충남지역에서 사망자가 추가로 발생했다. 이에 따라 올여름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는 23명이 됐다.

올해 온열질환자 77.6%는 남자였다. 연령별로는 50대(18.7%), 60대(18.5%), 40대(14.2%) 순으로 많았다.

온열질환은 주로 오후 2∼3시(10.7%), 오후 3∼4시(10.5%), 오전 6∼10시(10.6%) 등의 시간대에 많이 발생했다.

발생 장소는 작업장(31.3%), 논밭(15.0%) 등 실외(78.6%)가 대부분이었다.

열탈진(55.3%)이 절반 이상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다. 열사병(21.1%), 열경련(13.9%) 등도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열탈진은 땀을 많이 흘려 수분과 염분이 적절히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 발생한다. 피부가 창백해지며 무력감과 피로, 근육경련, 메스꺼움, 구토, 어지럼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환자의 체온이 40℃ 이상으로 치솟았는데도 땀이 나지 않아 피부가 건조하고 뜨거워졌다면 열사병을 의심해야 한다. 

서울을 포함한 곳곳에서 역대 최장기간의 열대야를 기록하는 등 당분간 무더위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온열질환을 예방하려면 더운 시간대에는 야외 작업이나 운동을 삼가고, 시원한 곳에 머물러야 한다.

또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물을 자주 마시고, 헐렁하고 밝은색의 가벼운 옷을 입거나 양산, 모자 등으로 햇볕을 가려주는 것이 좋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