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메이커] '굿바이 네이버' 손정의號 소뱅, AI 사업 강력 드라이브 '선포'

2024-06-20 16:54
  • 글자크기 설정

'AI 글로벌 패권' 노린다...손 회장 "AI 개발, 위험해도 감수해야"

ㅇ
손 마사요시(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사진=연합뉴스]


일본 최대 정보기술(IT) 기업 소프트뱅크 손 마사요시(손정의) 회장이 인공지능(AI) 사업에 그룹의 모든 역량을 쏟아붓겠다고 밝혔다. '네이버 지우기'에 속도를 내는 한편, 자체적인 AI 사업 강화로 그룹의 새 원동력을 찾겠다는 포석이다. 

이날 오전 손 회장은 일본 도쿄에서 열린 소프트뱅크 정기 주주총회에서 AI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앞두고 있음을 시사했다. 손 회장은 "큰 도전이 큰 성공을 거둘 수도 큰 실패를 할 수도 있지만, 소프트뱅크는 시도하지 않을 수 없다"며 "AI 개발이 가속화됨에 따라 투자 회사가 더 많은 위험을 감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성공 여부에 대한 두려움 없이 다음 큰 움직임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 회장은 그간 소프트뱅크가 미래 산업의 핵심이 될 AI 기술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겠다는 비전을 밝혀왔다. 손 회장은 이를 실현하기 위해 AI 사업에 최소 10조엔(약 88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 자금은 AI 관련 기술 개발과 인프라에 집중적으로 들어갈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AI 전용 반도체 개발과 AI 데이터센터 구축에 사용된다.

AI 글로벌 우위를 노리는 손 회장의 움직임은 점점 과감해지고 있다. 앞서 손 회장은 지난 2월 1000억원(약 133조원) 규모의 AI 칩 벤처 '이자나기(가칭)'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AI 칩을 직접 개발해 현재 반도체 시장을 주도하는 엔비디아와 경쟁하겠다는 목표다. AI 칩 개발에는 소프트뱅크가 보유한 암(ARM) 기술이 활용된다. ARM은 소프트뱅크가 지분 90% 이상을 보유해 최대주주로 있는 영국의 팹리스(반도체 설계) 기업이다. 손 회장은 2016년 ARM을 인수한 후 현재 이사회 의장에 올라 있다. ARM 외에도 손 회장은 세계 최대 파운드리(위탁생산) 업체인 TSMC, 자율주행차 스타트업 웨이브 등 AI 관련 기업에 대한 투자를 조용히 진행해 왔다.  

손 회장의 AI 사업 강화 전략에서 현재 최대 눈엣가시는 네이버일 것으로 보인다. 손 회장 입장에서는 AI 사업의 가장 핵심인 데이터와 이 데이터를 가져다줄 플랫폼을 소프트뱅크 독자적으로 가져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손 회장에게 네이버와의 결별은 선택이 아닌 필수적으로 해내야만 하는 것이다. 다만 국가 감정전으로 치달은 '라인야후 사태' 국면에서 최대한 자연스럽게 네이버를 지워내야 하는 셈이다. 
  
손 회장도 이를 의식한 모습이다. 손 회장은 이날 주총에서 총무성 행정지도에 따른 '자본관계 재검토'에 대해 직접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다. 대신 미야카와 준이치 소프트뱅크 최고경영자(CEO)를 통해 자본관계 재검토라는 행정지도를 내린 일본 정부와 궤를 함께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알렸다. 

미야카와 CEO는 네이버의 A홀딩스 지분 조정과 관련해 "라인야후로부터 요청을 받아 네이버와 협의를 진행 중"이라며 "아직 합의는 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18일 진행된 라인야후 주주총회에서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야후 최고경영자(CEO)는 모회사인 소프트뱅크에 자본관계 재검토와 관련해 결정을 내려주기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A홀딩스는 라인야후 지분 64.4%를 보유한 지배회사다.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각 50%씩 지분을 가지고 있다. 

라인이 일본 대표 메시징 플랫폼으로 자리 잡은 상태에서 손 회장 입장에서는 정부로부터 네이버와의 결별을 단행할 명분을 얻게 된 셈이다. 일본 내에서 라인을 한 달에 한 번 이상 이용하는 사용자 수는 9600만명에 달한다. 이어 태국 5100만명, 인도네시아 9000만명, 대만 2100만명 수준이다. 라인은 간편결제 서비스, 음식 배달 등 통합 소셜 플랫폼 역할도 하고 있다. AI 사업의 초석인 데이터를 제외하더라도 황금알을 낳는 거위인 셈이다.

일본 총무성은 지난 3월부터 두 차례에 걸쳐 라인야후에 네이버의 자본 관계 재검토와 경영체제 개선을 주문하는 행정지도를 내렸다. 일본 국민 대다수가 사용하는 플랫폼을 타국 기업이 이끄는 것은 자국민 개인정보보호에 위협이 된다는 점을 명분으로 삼았다. 이런 행정지도가 과도한 결정이라는 비판이 일본 내 언론에서도 쏟아졌다. 하지만 총무성은 당초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