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 우주항공·방산용 실란트 소재 초격차 기술개발 실증사업' 최종선정

2024-06-17 17:03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경남 양산시는 산업통상자원부 공모사업인 '우주항공·방산용 실란트 소재 초격차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실란트는 우주·항공 분야뿐만 아니라 방위, 자동차, 철도, 조선, 건설, 미래 모빌리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기술개발을 통해 국산화가 이뤄질 경우 고무·화학제품 제조업 비중이 높은 양산 지역기업이 세계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양산시는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과 경남테크노파크와 공동으로 실증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노루페인트와 새론테크가 기술개발에 참여한다.

  • 글자크기 설정
양산혁신지원센터에 실링 소재 시험인증센터가 들어선다 사진양산시
양산혁신지원센터에 실링 소재 시험인증센터가 들어선다. [사진=양산시]
경남 양산시는 산업통상자원부 공모사업인 '우주항공·방산용 실란트 소재 초격차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이 사업은 2024년부터 5년간 총 사업비 344억원을 투입해 △실링 소재·제품 시험평가를 위한 장비구축 △수요기업 연계 표준화 기술개발 △미연방조달청 시험기관 등록을 통한 제품 인증지원 △실링 소재 국산화 기술개발 지원 △산·학·연·관·군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 △기술 컨설팅 및 시제품 제작 지원을 통한 기업지원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개발을 목표로 하는 고기능 항공용 실란트는 항공기의 연료탱크 보호, 부품 접합면 및 패스너 장착부의 기밀 유지, 습기와 유체 침투에 의한 부식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소재이다.
항공용 실란트는 항공기의 내구성과 안정성 확보에 필수적이지만 기술 이전이 어렵고 국내에는 시험평가 기반 및 인증 체계가 없어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실란트는 우주·항공 분야뿐만 아니라 방위, 자동차, 철도, 조선, 건설, 미래 모빌리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기술개발을 통해 국산화가 이뤄질 경우 고무·화학제품 제조업 비중이 높은 양산 지역기업이 세계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양산시는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과 경남테크노파크와 공동으로 실증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노루페인트와 새론테크가 기술개발에 참여한다.
 
이번 공모사업으로 유산동에 소재한 양산혁신지원센터에 실링 소재 시험인증센터가 들어서게 된다.

나동연 양산시장은 "실란트 생산기술 개발은 제조업이 한 단계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