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서 전사한 '호국의 형제'…서울현충원에 나란히 영면

2024-06-05 13:25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국방부는 5일 신원식 장관 주관으로 서울현충원에서 '호국의 형제 6호' 안장식을 거행했다고 밝혔다.

    6·25전쟁 중 전사한 형제가 국립서울현충원에 나란히 안장됐다.

    안장식은 장남인 전병섭 하사(현 계급 상병)의 유해를 서울현충원에 먼저 묻힌 동생 전병화 이등상사(현 계급 중사)와 함께 안장하며 진행됐다.

  • 글자크기 설정

국방부, 신원식 장관 주관으로 '호국의 형제 6호' 안장식

사진국방부
국방부는 5일 신원식 장관 주관으로 서울현충원에서 ‘호국의 형제 6호’ 안장식을 거행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호국의 형제 묘역.[사진=국방부]

6·25전쟁 중 전사한 형제가 국립서울현충원에 나란히 안장됐다.
 
국방부는 5일 신원식 장관 주관으로 서울현충원에서 ‘호국의 형제 6호’ 안장식을 거행했다고 밝혔다.
 
안장식은 장남인 전병섭 하사(현 계급 상병)의 유해를 서울현충원에 먼저 묻힌 동생 전병화 이등상사(현 계급 중사)와 함께 안장하며 진행됐다.
 
행사에는 신 장관과 박안수 육군참모총장, 이근원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 권대일 국립서울현충원장 등이 참석했다. 행사는 영현 입장을 시작으로 고인에 대한 경례, 추모사, 헌화 및 분향, 공동 안장 순으로 이뤄졌다.
 
6·25전쟁 중 전사한 형제의 현충원 및 호국원 내 공동 안장은 2011년에 시작돼 이번이 여섯번째다.
 
형인 전 하사의 유해는 2021년 6월 강원도 인제군 고성재 일대에서 발굴됐고 지난해 11월 전 이등상사의 형으로 최종 확인됐다.
 
전 하사는 6·25전쟁이 발발하자 1950년 12월 자진 입대했고 국군 제8사단에 배치됐다.
 
1951년 2월 ‘횡성전투’, 같은 해 4월 ‘호남지구 공비토벌’에 참여해 북한군을 소탕했다.
 
이후 강원도 인제로 이동해 중·동부 전선을 사수하기 위해 북한군과 격전을 펼친 ‘노전평 전투’에 참전 중 1951년 8월 25일 26세의 젊은 나이로 전사했다.
 
전 이등상사는 국군수도사단 근무 중 6·25전쟁이 발발해 1950년 6월 ‘한강 방어선 전투’, 8월 ‘기계-안강 전투’, 10월 ‘원산 진격전’에서 적군과 맞서 싸웠다.
 
이후 강원도 고성으로 이동해 1951년 11월 6일 ‘월비산 전투’ 참전 중 20세의 나이에 전사했고, 전투 공적을 인정받아 같은 해 화랑무공훈장을 받았다.
 
전 이등상사의 유해는 전쟁 직후 수습돼 1959년 서울현충원에 안장됐다.
 
신 장관은 “75년이라는 긴 세월이 지났지만 이제라도 두 분이 만나 함께 영면하실 수 있게 돼 다행”이라며 “국방부는 호국영웅들의 희생과 헌신을 영원히 기억하고, 마지막 한 분을 찾는 그날까지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