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포스 "삼성전자 노조 파업, 메모리 생산에 영향 없어"

2024-06-02 16:49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삼성전자 노동조합이 오는 7일 사상 첫 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메모리 반도체 생산엔 즉각적인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일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삼성전자 노조가 오는 7일 하루 단체행동에 나설 계획이다"면서 "이번 파업은 D램과 낸드플래시 생산에 영향을 주지 않을 뿐 아니라, 출하량 부족을 초래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트렌드포스는 "삼성전자가 징검다리 연휴로 인해 이미 생산 일정과 인력 배치를 선제적으로 조정했을 것"이라며 "팹(생산공장)은 자동화된 생산에 크게 의존하고 최소한의 인력만 필요하기 때문에 이번 파업이 향후 메모리 공급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글자크기 설정

"단체행동 하루, D램·낸드플래시 생산에 차질 없어"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 지난 29일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업을 선언했다 사진이성진 기자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 지난 29일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업을 선언했다. [사진=이성진 기자]
삼성전자 노동조합이 오는 7일 사상 첫 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메모리 반도체 생산엔 즉각적인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일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삼성전자 노조가 오는 7일 하루 단체행동에 나설 계획이다"면서 "이번 파업은 D램과 낸드플래시 생산에 영향을 주지 않을 뿐 아니라, 출하량 부족을 초래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트렌드포스는 "삼성전자가 징검다리 연휴로 인해 이미 생산 일정과 인력 배치를 선제적으로 조정했을 것"이라며 "팹(생산공장)은 자동화된 생산에 크게 의존하고 최소한의 인력만 필요하기 때문에 이번 파업이 향후 메모리 공급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한 "파업 선언 이전부터 D램과 낸드플래시의 현물 가격은 하락세를 보였고, 선언 이후에도 가격 하락세에는 변화가 없었다"고 덧붙였다.

삼성전자 최대 노조인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은 임금협상을 위한 사측과의 본교섭 파행 후 지난 29일 창사 이래 처음으로 파업을 선언했다.

전삼노는 즉각적인 총파업에 나서는 대신 연차 소진 등의 방식으로 단체 행동을 할 예정이다. 우선 조합원들에게 6월 7일 하루 연차를 소진하라고 전달했다.

지난해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D램과 낸드플래시 생산량 점유율은 각각 46.8%, 32.4%로 1위를 차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