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부동산 위기 진원지' 헝다, 8000억원대 벌금

2024-05-31 19:53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중국 부동산 위기를 초래한 헝다(恒大·에버그란데)가 채권 사기 발행과 연차 보고서 허위 기재 문제로 중국 증권 당국으로부터 한화 8000억원 규모의 벌금을 부과받았다.

    헝다부동산 전 회장이자 실제 지배인 쉬자인(許家印)에게는 최대 4700만 위안(약 90억원)의 벌금과 증권시장 평생 진입금지를 조치했다.

    헝다부동산은 2019∼2020년 매출을 미리 인식하는 방식으로 매출·이윤을 허위로 늘려 거래소 시장 공개 발행 채권이 사기 발행되게 했고, 공개 연차 보고서를 허위로 기재했다고 증감회는 지적했다.

  • 글자크기 설정
상하이에 있는 헝다그룹 사옥 전경 사진AFP
상하이에 있는 헝다그룹 사옥 전경. [사진=AFP]

중국 부동산 위기를 초래한 헝다(恒大·에버그란데)가 채권 사기 발행과 연차 보고서 허위 기재 문제로 중국 증권 당국으로부터 한화 8000억원 규모의 벌금을 부과받았다.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증감회)는 31일 홈페이지를 통해 "최근 증감회는 헝다부동산 채권 사기 발행 및 정보 공개 위법 사건에 대해 처벌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증감회는 헝다부동산에 시정 명령과 경고, 벌금 41억7500 만위안(약 8000억원)을 부과했다. 헝다부동산 전 회장이자 실제 지배인 쉬자인(許家印)에게는 최대 4700만 위안(약 90억원)의 벌금과 증권시장 평생 진입금지를 조치했다.

헝다부동산은 2019∼2020년 매출을 미리 인식하는 방식으로 매출·이윤을 허위로 늘려 거래소 시장 공개 발행 채권이 사기 발행되게 했고, 공개 연차 보고서를 허위로 기재했다고 증감회는 지적했다.

또 헝다부동산에는 정기 보고를 일정대로 공개하지 않는 점과 중대 소송·중재 사건을 규정대로 공개하지 않은 점, 만기 도래 채무 상환 불능 상황을 공개하지 않은 점 등의 문제도 존재한다고 판단했다.

헝다는 쉬 회장이 1997년 광둥성에서 설립했다. 부동산 사업을 시작으로 금융, 헬스케어, 여행, 스포츠, 전기차 사업을 영위하는 재벌 기업으로 커졌다.

쉬 회장은 2017년 보유재산 420억 달러(약 57조원)로 아시아 부자 2위에까지 올랐고 회사도 중국 2위의 부동산 개발 업체로 성장했다. 그러나 문어발식 사업 확장과 공격적인 인수·합병, 신사업 투자 등으로 부채가 불어났다.

이런 상황에서 금융 리스크를 줄이고 주택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한 중국 당국의 조치에 역풍을 맞았다. 국유은행이 부동산 프로젝트 관련 대출 회수에 나서면서 심각한 자금난에 빠졌다.

결국 헝다는 2021년 말 역외 채권 채무불이행(디폴트)을 시작으로 주택건설 중단, 하도급업체 공사대금 미지급 등으로 중국 부동산 위기를 불러왔다는 지적을 받았다.

현재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빚을 진 부동산 개발업체로, 총부채는 약 443조원(2조3900억 위안)에 달한다. 쉬 회장은 지난해 9월 강제 조치(구속)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1개의 댓글
0 / 300
  • 전라도머리통에미사일이떨어져머리가가깨지고피가날것이다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