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템임플란트, '발명의 날' 산업부 장관 표창 영예

2024-05-22 10:00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오스템임플란트가 특허청과 한국발명진흥회에서 주최·주관하는 '제59회 발명의 날 기념식'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고 22일 밝혔다.

    오스템임플란트는 차세대 치과 기술인 디지털덴트스트리에서 전 세계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R&D)과 특허 출원 등 국내 치의학 발전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았다.

    특허 출원 분야는 △임플란트 △재료/교정 △의료 장비△IT(빅데이터, 인공지능(AI), CAD) 등 치과와 연관된 전반적인 영역이다.

  • 글자크기 설정

특허 출원 1100여건·등록 700여건···국내 덴탈 기업 중 '최다'

지난 21일 열린 제59회 발명의 날 기념식에서 오스템임플란트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사진은 오스템임플란트 특허실 문석기 이사가 수상 후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사진오스템임플란트
지난 21일 열린 제59회 발명의 날 기념식에서 오스템임플란트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사진은 오스템임플란트 특허실 문석기 이사가 수상 후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사진=오스템임플란트]

오스템임플란트가 특허청과 한국발명진흥회에서 주최·주관하는 ‘제59회 발명의 날 기념식’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고 22일 밝혔다.

오스템임플란트는 차세대 치과 기술인 디지털덴트스트리에서 전 세계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R&D)과 특허 출원 등 국내 치의학 발전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았다.
특허 출원 분야는 △임플란트 △재료/교정 △의료 장비△IT(빅데이터, 인공지능(AI), CAD) 등 치과와 연관된 전반적인 영역이다. 특히 지난해 IT 특허 출원 비중 중 인공지능 관련 특허는 전체 60%로 치과 재료 및 기기 성능 제고는 물론 디지털 접목을 통한 디지털덴티스트리에도 집중하고 있다.

디지털덴티스트리란 치과의 워크플로우를 디지털화해 신속·정확·편리성을 강조하는 치과 디지털 전환 기술을 말한다.

오스템임플란트는 작년 국내 기준 특허 출원 1100여건, 등록 700여건 등 기술력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만 120여건의 치과 관련 특허를 출원했다. 이는 국내 덴탈 기업 중 최다 특허 출원 기록이라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아울러 글로벌 치과계 지식재산권 확보를 통한 영향력 확대를 위해 미국, 유럽, 중국 등 해외 시장에서도 지난해 100여건의 해외 특허를 출원했다.

문석기 오스템임플란트 특허실 이사는 “2028년 글로벌 1위 임플란트 기업, 2036년 전 세계 덴탈 1위 기업을 목표로 경쟁력 있는 기술력과 세계적인 지식재산권 확보를 위해 집중한 부분이 이번 발명의 날 높은 평가를 받아 표창까지 이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