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눈] 알고 싶은 그곳 '새마을금고'…정보 접근성 개선해야

2024-05-16 17:00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금융권의 재무 정보 기사를 작성하고 싶을 때 기자들은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을 자주 이용한다.

    이를 위해 금융위원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며, 금융위에는 새마을금고 관리·감독 담당 상호금융팀이 신설됐다.

    새마을금고와 관련한 공시 등 정보제공 시스템 전반을 강화할 필요도 있다.

  • 글자크기 설정

다른 금융권과 달리 정보 확인 어려워

민·관 감시에서 벗어난 새마을 금고

 
사진신동근 기자
[사진=신동근 기자]

금융권의 재무 정보 기사를 작성하고 싶을 때 기자들은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을 자주 이용한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시중은행 재무 정보부터 1000개 넘는 단위농협조합 정보까지 한눈에 볼 수 있다. 정보를 가공하고 비교하면 어느 단위농협이 부실한지 또는 우량한지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행정안전부 산하에 있는 새마을금고는 이 시스템에서 확인할 수가 없다. 새마을금고에는 1000곳 넘는 개별 금고가 존재하는데, 실적 등 정보를 확인하려면 개별 금고 공시를 각각 들어가 확인해 봐야 한다.
새마을금고는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감독도 받지 않았다. 행안부의 감독 수준이 금융당국과 같을 수 없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돼 왔다. 지금은 새마을금고혁신지원단 등을 운용하며 가용 인력을 늘렸지만, 앞서는 행안부 공무원 10명가량이 새마을금고 관련 업무를 모두 맡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렇듯 새마을금고는 그동안 언론·관의 감시의 눈에서 살짝 벗어나 있었다. 마을 공동체 단위 비영리 조직으로 설립됐고 지역금고라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어 관리·감독에서 비교적 자유로웠기 때문이다. 다만, 최근 사태를 보면 새마을금고는 자유를 너무 만끽해 왔다.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이후 언론과 사회의 큰 관심을 받게 됐다. 이어 자금을 횡령하고 담보가치를 부풀린 새마을금고 직원이 잇따라 적발되는 등 각종 비리 또한 수면 위로 드러났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과 연체율 증가 등 문제도 발생했다. 
 
새마을금고에 대한 건전성과 투명성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시점이다. 행안부는 새마을금고 건전성 관리·감독 권한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이를 위해 금융위원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며, 금융위에는 새마을금고 관리·감독 담당 상호금융팀이 신설됐다.

새마을금고와 관련한 공시 등 정보제공 시스템 전반을 강화할 필요도 있다. 정보 접근성을 제고해 데이터를 쉽게 수집·분석할 수 있도록 해야 부실을 미리 막고 건전한 영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새마을금고의 정보가 더 개방되길 바라며 국민과 관의 감시 아래 진정한 서민금융기관으로 거듭나길 기대해 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