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IMF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4월 세계경제전망(WEO)을 발표했다고 16일 밝혔다.
앞서 IMF는 지난해 7월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2.4%로 전망한 후 11월 2.2%로 낮춘 바 있다. 이후 지난 1월 WEO 수정치를 통해 2.3%로 상향 조정했고 이번에도 같은 전망을 내놨다.
IMF가 전망한 우리나라 성장률은 다른 기관의 전망과 비교할 때 비교적 높은 수준이다. 2.2%를 전망한 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아시아개발은행(ADB)보다 0.1%포인트 높다. 한국은행(2.1%)에 비해서는 0.2%포인트 높은 성장률이다.
한국과 미국, 일본 등 선진국 그룹 41개 국가 성장률은 1.7%로 점쳐졌다. 지난 전망보다 0.2%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특히 미국 경제성장률은 기존보다 0.6%포인트 상승한 2.7%로 예측했다. 일본은 지난 전망과 같이 0.9%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유로존 성장률은 주요국 소비심리가 악화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0.1%포인트 하향 조정한 0.8%로 예측했다.
중국과 러시아 등 신흥개도국 155개 국가 성장률은 기존 전망보다 0.1%포인트 높아진 4.2%로 전망했다. 러시아는 국방 지출과 민간소비가 확대되면서 지난 1월 예측보다 0.6%포인트 높아진 3.2% 성장이 예상된다. 브라질(2.2%)과 인도(6.8%)도 성장률을 상향 조정했지만 중국은 기존과 동일한 4.6%를 유지했다.
IMF는 "전 세계적으로 선거의 해를 맞아 재정 부양 확대, 조기 금리 인하, 생산성 향상, 성공적인 구조개혁 추진 등은 성장률을 높일 상방 요인"이라면서도 "지정학적 갈등 확산, 높은 부채, 중국 경기 둔화 등은 성장률을 제약할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조급한 통화정책 완화를 경계하고 국가별 물가 상황에 따라 적절한 시점에 통화정책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며 "미래 위험에 대비한 재정 여력을 확충하고 공급 측면 개혁을 통한 중장기 생산성 향상, 녹색 전환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력 제고 등을 권고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