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日 관광 현주소] 점점 벌어지는 한일 외래객 수...격차 좁히지 못하는 이유는?

2024-03-06 16:43
  • 글자크기 설정
일본 사가현 관광지 사진김다이 기자
일본 사가현에서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 [사진=김다이 기자]

한국과 일본을 찾는 외래 관광객 수 격차가 2배 이상 벌어졌다. 한국이 관광에 힘을 쏟지 못하던 사이 일본은 민관협력으로 부지런히 관광산업을 키운 것이 이같은 결과를 낳았다. 지난 10년 간 일본은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열을 올렸고, 외래객 유치 부분에서 한국을 크게 앞질렀다. 팬데믹 이후 한일관광의 격차가 2.5배까지 벌어진 원인은 무엇일까. 다양한 이유가 있었다. 
 
6일 한국관광공사와 일본정부관광국(JNTO)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을 찾은 관광객은 2506만명에 달했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의 80% 수준을 회복한 수치다. 지난해 한국의 인바운드 관광객은 1103만명 기록했으며, 2019년의 63% 수준을 회복하는 데 그쳤다.
 
특히 일본을 가장 많이 찾은 관광 국가는 한국이었다. 지난해 한국을 찾은 일본인은 232만명 수준이었지만, 방일 한국인은 695만명으로 일본인의 세 배에 달했다. 
 
올해 들어 방일 한국인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엔저 현상이 지속되면서 부담 없이 당일치기 여행을 떠나는 관광객도 늘어나는 추세다. 반면, 한국을 찾는 일본인 수는 올해 들어 주춤한 것으로 나타났다.
 
◆日 관광 집중 정책, 10년 새 한국과 격차 벌렸다
10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한국은 일본보다 더 많은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해왔다. 한국의 외래 관광객은 2012년 1000만명 돌파 이후 해마다 100만명씩 증가하며 꾸준한 성장을 이뤘다. 2019년 한국을 방문한 외래 관광객 수는 1750만명으로, 전 세계 관광객 유치 순위에서 2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2012년 한일 외래관광객 수는 일본이 836만명, 한국이 1114만명으로, 한국이 일본보다 300만명 더 많은 관광객을 유치했다.
 
그러나 2012년 아베 총리가 집권하면서 일본의 관광정책에 많은 변화가 생겼다. 아베 총리는 관광을 고령화 사회 대책과 유망 수출산업으로 보고 적극적인 정책을 펼쳤다. 총리가 직접 콘트롤타워 역할을 하며 관광 관련 회의를 진행하고 정책에 관여했다.

한국과 일본이 유치한 외래객 수는 2015년 일본(1973만명)이 우리나라(1323만명)를 600만명 차이로 앞질렀고, 4년 후인 2019년에는 일본(3188만명)이 우리나라(1705만명)를 1483만명이나 추월했다. 우리 정부가 관광 분야에서 이렇다 할 정책과 목표 없이 세월을 흘려보낼 때 일본은 관광산업 활성화 대책을 세심히 마련해 외래객 수 추월에 성공한 것이다.
 
◆일본 관광 정책, 무엇이 달랐나

일본은 일찌감치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관광 인프라를 구축했다. 비자 발급이 어려운 점이 일본 여행에 걸림돌이 된다는 이야기를 들은 일본 정부는 비자 발급 조건을 대폭 완화했다. 일본 경찰청과 법무성의 우려에도 아베 신조 내각 출범 이후 동남아시아 개발도상국 국민들에게 단기 체재 비자를 면제해 주면서 적극적으로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나섰다.

일본은 지역별 관광 활성화에도 적극적이다. 일례로 일본 기후현의 작은 도시 ‘다카야마’는 수려한 경관과 온천을 보유하고 있지만, 홍보 부족으로 연간 이곳을 방문하는 관광객이 10만명에도 못 미쳤다. 인구가 줄어들면서 고령화로 지방 소멸 위기까지 겪었다.
 
이에 다카야마시는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사활을 걸었다. 시청에서 해외전략실을 만들어 해외 여행사를 돌며 패키지를 만들고 주민들에게 간단한 영어를 가르쳤다. 정부 차원에서도 교통 요금 할인, 지역 홈페이지 개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지역 공항 설립, 환급형 사후면세점 증대 등 각종 관광 관련 정책을 손봤다. 그 결과 다카야마시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은 60만명을 기록할 정도로 커졌다. 
 
반면 우리 정부는 실질적인 제도 개선과 전략면에서 아쉬움을 남겼다. 정부는 무사증 입국 외국인 대상으로 전자여행허가제(K-ETA)를 도입했지만, 이것이 되레 방한 외래객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K-ETA는 비자 면제 대상 외국인이 입국 전 인터넷으로 사전허가를 신청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문제는 K-ETA의 심사 정확도가 낮아 순수 관광객들까지 피해를 보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동남아 국가에서 한국여행에 대한 불매운동으로 이어지며 방한객 유치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방한외래객의 수도권 쏠림 현상도 문제다. 실제 방한 외국인 관광객 80% 이상이 서울을 방문한다. 제주, 부산 등 서울 외 지역을 방문하는 외국인 비중은 10% 수준이거나 이에 못미친다. 언어장벽과 관광 인프라 부족, 외국인 대상 패키지 상품 부족 등도 방한 관광 활성화 저해 요소로 꼽힌다. 
 
관광업계 한 관계자는 “한국 관광은 관광자원과 인프라가 주로 대도시에 국한돼 있으며, 관광 인프라와 전문 인력 부족, 비자 발급 간소화, 관광에 대한 저조한 관심과 투자 등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많다”라면서 “K-콘텐츠 등 문화와 인터넷 서비스, 안전성, 음식 등 강점을 살려 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