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에서 책임 있는 중견 국가를 지향하는 한국이 본받아야 할 나라 중 하나가 노르웨이일 것이다. 북유럽 변방에 위치한 이 작은 나라는 평화를 사랑하는 평화 중재자라는 역할을 통해 전 세계에서 인정받고 신뢰받는 나라가 되었다. 노벨 평화상을 선정, 수상하는 나라로서 이런 인식을 더욱 공고히 한다. 이 과정에서 때로는 단기적으로 국익에 손해를 보는 경우가 있어도 진정한 평화 가치 실현을 위해 용기있는 결단을 내린다. 지난주 이란의 여성인권 운동가 나르게스 모하마디를 올해 노벨 평화상 수상자로 선정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반체제 혐의로 모하마디를 감옥에 가두고 있는 이란 정부는 물론 아랍권 대부분이 반대하는 수상이지만 노르웨이로서는 개의치 않는다.
사실 노벨상을 만든 스웨덴 국적 알프레드 노벨이 다른 네 개의 노벨상은 스웨덴에서 선정하도록 했지만 평화상만은 노르웨이에 그 권한을 주도록 유언한 것도 노르웨이의 평화 애호 정신을 높이 샀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타국을 침략한 경험이 있는 스웨덴과 달리 노르웨이는 그런 전력이 전무했고 국민성 자체가 평화를 사랑했기 때문이다.
그 밖에도 노르웨이는 이 평화상을 통해 지구촌 곳곳에서 평화와 인권 등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위해 노력하는 인사들을 발굴해서 지구촌에 공헌해 왔다. 국제연맹 창설을 주도한 우드로 윌슨 대통령, 미국 인권운동가 마틴 루서 킹 목사, 테레사 수녀, 달라이 라마, 남아공 투투 대주교, 넬슨 만델라 대통령, 파키스탄 여성 운동가 말랄라 유사프자이, 한국의 김대중 대통령 등이다. 또한 평화에 공헌한 단체도 포함되는데 적십자사, 국제노동기구, 유엔 평화유지군, 유엔난민기구, 국경없는의사회, 세계식량기구 등이다. 대상도 평화뿐 아니라 기후, 환경, 군비 등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고 있다.
물론 노벨 평화상에 대한 논란과 이에 따른 노르웨이에 대한 비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이 상이 주로 서방의 가치를 중시하고 그 밖의 지역의 문화나 특수성은 고려하지 않아 편향되었다는 점이다. 중국 등 권위주의 국가뿐 아니라 중동의 회교 국가들이 특히 이 점을 비난한다. 또한 평화를 위한 과거 실적보다 현재나 미래를 예단해서 시상한다는 점도 지적된다. 오바마 대통령의 경우 취임 9개월 만에 별 성과 없이 수상자가 되었고, 유럽연합은 부채, 난민 등 유럽 내 문제가 가장 심각하던 2012년 선정되었다. 1991년 수상한 미얀마의 아웅산 수치는 최근 자국의 로힝야 회교도 탄압 사태에 침묵을 지켜 수상을 취소해야 한다는 의견까지 나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르웨이가 노벨상이나 여타 평화 중재 활동을 통해 국제사회에 공헌하고 중견 국가로서 효과적인 틈새 외교(niche diplomacy)를 벌인 것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현대 국제사회가 중시하는 공공외교의 일환으로 자신들에게 가장 적합한 분야를 선정해 국제사회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한 것이다. 이런 틈새 외교는 국력이 크지 않은 중견 국가들이 특히 역점을 둘 수 있는 분야다. 스웨덴의 페미니즘 외교, 캐나다의 인간안보 외교, 싱가포르의 수자원 관리 외교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글로벌 중추 국가(global pivotal state)를 표방하는 한국에게는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우리만이 할 수 있는 특정 분야를 선정해서 외교 역량을 집중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윤석열 정부가 자유, 인권 및 보편적 가치를 외교 비전으로 세우고 가치 동맹을 통해 이를 실천하기로 한 것은 시의적절하다. 그러나 노르웨이 사례에서 보듯 여기에는 용기가 필요하다. 북한이나 중국 등 권위주의 국가의 인권에 침묵하는 자세로는 성취하기 어려운 목표이다. 우리와 크게 관계가 없다거나 국내 상황이 어렵다고 국제적 문제를 나 몰라라 해서도 어렵다. 단기적으로는 손해가 있더라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원칙과 가치를 지켜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한국은 영원히 변방에 머무는 존재감 없는 국가가 될 것이다.
이병종 필자 주요 이력
▷연세대 언론정보학 박사 ▷AP통신 특파원 ▷뉴스위크 한국지국장 ▷서울외신기자클럽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