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자살예방백서에 따르면, 2020년 대한민국 청소년 자살자 수는 2017년 인구 10만명 당 7.8명이었으나 2018년 9명, 2020년 11.1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청소년 자살 생각은 총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됐다.
전체 응답자의 80.5%는 자살 위험성이 낮은 ‘일반군’에 속하고, 10.1%는 정말로 의사는 없지만 자살에 대해 단순히 생각해 본‘단순생각군’으로 분류됐다. 또 5.8%는 치명적인 수준은 아니지만 심각한 자살 생각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잠재군’, 3.6%는 매우 높은 자살 위험성을 지니는‘적신호군’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가적 차원에서 청소년 자살 예방에 노력이 집중되고 있음에도 불구, 청소년 자살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현실에 대한 대응을 목적으로 진행됐다는 게 특징이다.
청소년들이 또래로부터 받는 지지가 높을수록 ‘일반군’에 속할 확률이 높아지며,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적신호군’에 속할 확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보여 청소년 자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선 청소년 개인의 자기효능감 증진과 함께 친구, 가족, 교사 등 주변 환경의 관심도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책임연구원 김신아 연구팀은 “일반고 학생들이 경쟁적이고 엄격한 학업환경에서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자살 생각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며, "지역 청소년 자살 문제 예방 등을 위해 학교 유형에 따른 맞춤형 개입을 고안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재단 최원기 대표이사는“우리 사회가 청소년들의 가벼운 정신건강 문제에도 관심을 가질 때, 청소년 자살로부터 안전한 공동체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재단은 청소년이 안전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해 적극적인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