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의 더블딥(회복 후 재침체)을 우려한 중국 인민은행이 사실상 기준금리를 10개월 만에 인하했다.
인민은행은 20일 홈페이지에서 1년물 대출우대금리(LPR)를 3.65%에서 3.55%로 10bp(1bp=0.01%포인트) 인하했다. 주택담보대출 가이드라인 역할을 하는 5년물 LPR도 4.3%에서 4.2%로, 같은 폭으로 내렸다.
인민은행은 매달 20일 18개 시중 은행이 보고한 LPR 값의 평균을 고시하는데, 중국 내 전 금융기관은 이를 대출업무 기준으로 삼는다. 1년물 LPR는 신용대출·기업대출 등 금리 산정 시 지표가 돼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하며, 5년물 LPR는 주택담보대출 등 장기금리 산정 시 기준이 된다.
인민은행은 지난해 코로나19로 경제가 타격을 입으면서 1월과 8월 두 차례에 걸쳐 1년물 LPR를 0.1%포인트씩 인하한 바 있다.
인민은행은 20일 홈페이지에서 1년물 대출우대금리(LPR)를 3.65%에서 3.55%로 10bp(1bp=0.01%포인트) 인하했다. 주택담보대출 가이드라인 역할을 하는 5년물 LPR도 4.3%에서 4.2%로, 같은 폭으로 내렸다.
인민은행은 매달 20일 18개 시중 은행이 보고한 LPR 값의 평균을 고시하는데, 중국 내 전 금융기관은 이를 대출업무 기준으로 삼는다. 1년물 LPR는 신용대출·기업대출 등 금리 산정 시 지표가 돼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하며, 5년물 LPR는 주택담보대출 등 장기금리 산정 시 기준이 된다.
인민은행은 지난해 코로나19로 경제가 타격을 입으면서 1월과 8월 두 차례에 걸쳐 1년물 LPR를 0.1%포인트씩 인하한 바 있다.
시장은 인민은행이 이달 들어 선행지표 격인 정책 금리를 낮추면서 LPR 인하를 사실상 예견했다. 인민은행은 지난 13일엔 7일 만기 역환매조건부채권(역RP) 금리를, 15일엔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를 0.1%포인트씩 내려 각각 연 1.9%와 연 2.65%로 조정했다.
이는 최근 중국 경제의 더블딥 우려 속에 나온 움직임이다. 중국 경제는 올 초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으로 1분기 예상보다 빠른 성장세를 보였지만, 4~5월 들어 회복세가 눈에 띄게 느려졌다. 소매판매, 투자, 부동산 판매 등 대부분 지표가 시장의 기대치를 밑돌고, 청년 실업률은 20%를 웃돌면서 2018년 통계 집계 이후 최고치로 치솟은 것.
이에 중국 정부가 통화·재정 부양책을 내놓을 것이란 시장의 기대감도 커졌다. 리창 중국 총리는 16일 국무원 상무위원 회의를 열고 "경제 발전 모멘텀을 강화하고 경제 구조를 최적화하며 경제의 지속적인 회복을 촉진하기 위해 보다 효과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부양책을 내놓을 것임을 시사했다.
특히 중국 경제 주요 성장동력인 부동산 부문에 대한 더 많은 부양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올 들어 5월까지 중국 부동산 개발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7.2% 감소했다. 앞서 1~4월 6.2% 낙폭에서 더 확대된 것이다. 최근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조차 실적 악화로 주가가 폭락하며 증시에서 줄줄이 퇴출될 위기에 놓인 상황이다.
다만 데이비드 차오 인베스코 아태 지역담당 글로벌 마켓 스트래티지스트는 로이터에 "부채 상환에 급급한 가계와 기업들이 지나치게 보수적인 상황에서 금리 인하도 효과가 없을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리스크"라고 진단했다.
일각에선 중국의 경기 부양책 지연이 경기 둔화 우려를 가중시킬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블룸버그는 중국 정부가 지난 16일 국무원 회의에서 부양책이 언급된 이후 아직 구체적인 조치를 내놓지 않은 데다가, 리창 총리도 유럽 순방에 나서며 경기 부양책 발표가 늦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중국이 과거와 같은 대수만관(大水漫灌, 물을 대량으로 쏟아붓는다)식 돈 풀기를 자제하고, 점진적인 유동성 공급을 추구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중앙정부의 특수국채 발행을 통한 인프라 부양, 지방정부 채권 할당량 확대, 주택 구매제한 완화, 자동차 가전제품 소비 촉진 등의 부양책 등이다.
부양 강도와 규모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면서 기관들은 올해 중국 성장률 전망치도 속속 하향 조정하고 있다. 최근 노무라증권은 기존의 5.5%에서 5.1%로, UBS는 5.7%에서 5.2%로, JP모건은 5.9%에서 5.5%로 낮췄다.
이에 중국 정부가 통화·재정 부양책을 내놓을 것이란 시장의 기대감도 커졌다. 리창 중국 총리는 16일 국무원 상무위원 회의를 열고 "경제 발전 모멘텀을 강화하고 경제 구조를 최적화하며 경제의 지속적인 회복을 촉진하기 위해 보다 효과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부양책을 내놓을 것임을 시사했다.
특히 중국 경제 주요 성장동력인 부동산 부문에 대한 더 많은 부양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올 들어 5월까지 중국 부동산 개발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7.2% 감소했다. 앞서 1~4월 6.2% 낙폭에서 더 확대된 것이다. 최근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조차 실적 악화로 주가가 폭락하며 증시에서 줄줄이 퇴출될 위기에 놓인 상황이다.
다만 데이비드 차오 인베스코 아태 지역담당 글로벌 마켓 스트래티지스트는 로이터에 "부채 상환에 급급한 가계와 기업들이 지나치게 보수적인 상황에서 금리 인하도 효과가 없을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리스크"라고 진단했다.
일각에선 중국의 경기 부양책 지연이 경기 둔화 우려를 가중시킬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블룸버그는 중국 정부가 지난 16일 국무원 회의에서 부양책이 언급된 이후 아직 구체적인 조치를 내놓지 않은 데다가, 리창 총리도 유럽 순방에 나서며 경기 부양책 발표가 늦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중국이 과거와 같은 대수만관(大水漫灌, 물을 대량으로 쏟아붓는다)식 돈 풀기를 자제하고, 점진적인 유동성 공급을 추구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중앙정부의 특수국채 발행을 통한 인프라 부양, 지방정부 채권 할당량 확대, 주택 구매제한 완화, 자동차 가전제품 소비 촉진 등의 부양책 등이다.
부양 강도와 규모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면서 기관들은 올해 중국 성장률 전망치도 속속 하향 조정하고 있다. 최근 노무라증권은 기존의 5.5%에서 5.1%로, UBS는 5.7%에서 5.2%로, JP모건은 5.9%에서 5.5%로 낮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