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DGB·JB 등 지방 금융그룹이 고전을 면치 못하는 이유는 우선 이들이 기반을 두고 있는 지역경제가 침체한 영향이 크다. 지역에 돈이 돌지 않고 여·수신이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다 보니 영업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것이다. 지방 금융그룹은 사업을 확대하거나 연합전선을 구축하는 방식으로 활로를 찾고 있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지방 경기 침체가 급속도로 퍼진 뒤 회복은 더디게 진행되면서 지방 금융사의 건전성 지표가 빠르게 악화하고 있다. 차주들의 상환 능력이 떨어지면서 특히 고정이하여신(NPL)비율과 연체율이 급등하고 있다.
보고서는 “주요국 금융 긴축, 국내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등 최근 상황에서 국내외 경기 충격이 발생하면 지방이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며 “특히 코로나19 이후 회복이 더딘 울산·경북, 국내 수요 충격 영향을 크게 받는 대구·경남 등에 타격이 클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역경제가 좋지 않고 NPL비율과 연체율 등이 급등하고 있지만 지방 금융사의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은 규제 수준을 겨우 넘기고 있다. 경기 침체에 따른 부실 확대에 대비해 자체적으로 건전성을 강화할 여력이 없는 상황이다.
특히 미국에서도 지역 은행 3곳이 연달아 파산하면서 금융권 위기가 촉발된 만큼 국내에서도 지방 금융사 건전성 확보를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앞서 미국에서는 지난 3월부터 실리콘밸리은행(SVB), 시그니처은행, 퍼스트리퍼블릭은행 등이 파산했다.
게다가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 중 하나인 충청은행 설립, 금융당국이 검토하고 있는 ‘지방은행의 시중은행화를 통한 경쟁 촉진’을 실현하기 위해서도 지방 금융사의 경쟁력 강화가 필수라는 지적이다.
이에 지방 금융사들도 자체적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들은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연합전선을 구축하는 방식으로 경쟁력을 강화해 건전성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경남은행은 올해 수도권에 영업점 두 곳을 추가로 신설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전북은행은 가상자산 실명계좌 사업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전북은행은 고팍스와 실명 확인 입출금계정 계약을 맺고 있다. 관련 업계에서는 전북은행이 다른 가상자산 거래소와도 비슷한 계약을 체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
디지털 전환 시대에 지방은행끼리 연합전선을 구축해 지역적인 한계를 극복하겠다는 움직임도 있다. 지난달 초 전국 은행장 간담회 당시 한 지방은행장은 “디지털 전환 측면에서 지방은행이 공동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최근 지방 금융사는 돈이 되는 일이라면 적극적인 자세로 사업을 추진하려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며 “지방 금융그룹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하고 은행권 경쟁 촉진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이 기대되는 만큼 위기를 잘 극복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