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사기 사건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엔 서울 구로구와 일산 신도시 등에 120채 이상의 빌라·오피스텔을 소유한 것으로 알려진 집주인이 계약만료 시점을 앞두고 잠적한 것으로 알려져 임차인들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26일 아주경제 취재에 따르면, 구로구 개봉동·일산 등에서 신축빌라와 오피스텔 120채를 소유한 임대인 A씨가 임대차 계약 만료를 앞둔 세입자들에게 '임대보증금 반환 불가' 사실을 통보하고 현재 연락 두절인 상태로 알려졌다. A씨는 "종부세 체납으로 부동산이 압류돼 보증금을 돌려줄 여력이 없다"고 통보한 뒤 임차인들의 연락을 받지 않고 있다.
피해자들에 따르면 수도권에서 가구대리점을 운영하는 A씨는 지난 2020~2021년에 구로구, 일산 등지에서 전세보증금을 레버리지로 삼아 신축 빌라와 오피스텔을 공격적으로 매입, 현재 120여 채를 소유한 것으로 전해졌다. A씨가 보유한 개봉동 신축빌라의 경우 15가구 가운데 9가구가 A씨 소유다. 이 빌라의 전세보증금은 2억원 후반에서 3억원 초반으로, 전체 피해예상액은 300억원대를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오는 9월 A씨와의 임대차 계약 만료를 앞두고 있는 김모씨(30대·직장인)는 "타 지역으로 발령이 나서 미리 이사를 알아보던 차에 A씨로부터 ‘세금체납 등으로 부동산 압류가 예상되니 그 전에 세입자를 구해 나가든지 소유권을 이전받든지 알아서 하라’는 통보를 받았다”면서 “올 초에만 해도 A씨가 ‘중도해지계약서를 쓰면 주택도시보증공사(HUG·허그)에서 보증보험금을 미리 받을 수 있다’면서 안심시켰지만, 지난 3월부터는 연락이 닿지 않고 있는 상태”라고 토로했다. 다행히 김씨는 허그의 보증보험에 가입된 상태다.
김씨가 거주하는 구로구 개봉동 빌라 거주자들은 A씨의 보유 주택수가 많고, 보증금이 적지 않은 만큼 추가 피해를 우려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또 다른 피해자는 “A씨가 매입한 신축빌라 계약이 2021년 9~11월에 집중돼 아직 임대인이 잠적했다는 사실도 모르는 피해자들이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피해가 가시화되지 않아 공론화하기 어려운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어 “보증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임차인들도 상당수인 것으로 알고 있어 사태가 확산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전세 피해는 지난해 말 인천 미추홀구와 서울 강서구 화곡동 등에 이어 최근 동탄, 부산, 대전, 대구 등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가 현재 공식 운영 중인 전세사기 피해센터는 서울, 인천, 수원, 부산 등 4곳으로, 허그 전세피해지원센터(강서구 화곡동)에 따르면 이날까지 접수된 전세피해 의심사례는 4160건이다. 평균 피해금액으로 추산하면 화곡동에서만 5000억원의 피해액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26일 아주경제 취재에 따르면, 구로구 개봉동·일산 등에서 신축빌라와 오피스텔 120채를 소유한 임대인 A씨가 임대차 계약 만료를 앞둔 세입자들에게 '임대보증금 반환 불가' 사실을 통보하고 현재 연락 두절인 상태로 알려졌다. A씨는 "종부세 체납으로 부동산이 압류돼 보증금을 돌려줄 여력이 없다"고 통보한 뒤 임차인들의 연락을 받지 않고 있다.
피해자들에 따르면 수도권에서 가구대리점을 운영하는 A씨는 지난 2020~2021년에 구로구, 일산 등지에서 전세보증금을 레버리지로 삼아 신축 빌라와 오피스텔을 공격적으로 매입, 현재 120여 채를 소유한 것으로 전해졌다. A씨가 보유한 개봉동 신축빌라의 경우 15가구 가운데 9가구가 A씨 소유다. 이 빌라의 전세보증금은 2억원 후반에서 3억원 초반으로, 전체 피해예상액은 300억원대를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오는 9월 A씨와의 임대차 계약 만료를 앞두고 있는 김모씨(30대·직장인)는 "타 지역으로 발령이 나서 미리 이사를 알아보던 차에 A씨로부터 ‘세금체납 등으로 부동산 압류가 예상되니 그 전에 세입자를 구해 나가든지 소유권을 이전받든지 알아서 하라’는 통보를 받았다”면서 “올 초에만 해도 A씨가 ‘중도해지계약서를 쓰면 주택도시보증공사(HUG·허그)에서 보증보험금을 미리 받을 수 있다’면서 안심시켰지만, 지난 3월부터는 연락이 닿지 않고 있는 상태”라고 토로했다. 다행히 김씨는 허그의 보증보험에 가입된 상태다.
익명을 요구한 또 다른 피해자는 “A씨가 매입한 신축빌라 계약이 2021년 9~11월에 집중돼 아직 임대인이 잠적했다는 사실도 모르는 피해자들이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피해가 가시화되지 않아 공론화하기 어려운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어 “보증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임차인들도 상당수인 것으로 알고 있어 사태가 확산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전세 피해는 지난해 말 인천 미추홀구와 서울 강서구 화곡동 등에 이어 최근 동탄, 부산, 대전, 대구 등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가 현재 공식 운영 중인 전세사기 피해센터는 서울, 인천, 수원, 부산 등 4곳으로, 허그 전세피해지원센터(강서구 화곡동)에 따르면 이날까지 접수된 전세피해 의심사례는 4160건이다. 평균 피해금액으로 추산하면 화곡동에서만 5000억원의 피해액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집가지고 장난치는 사람들 이번 기회에 뿌리뽑고 엄벌에 처해야 될듯합니다.
문정권때,이런식으로 집을 마구 사서,요즘 집값 반토막 나니 , 이제 도망치는 구나?산업쓰레기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