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보험공사가 SGI서울보증보험에 대한 배당 성향을 2년 연속 50%대로 책정해 공적자금 회수에 속도를 내고 있다. 보험권에선 지난해 목표로 설정했던 '올해 상반기까지 IPO(기업공개)'를 이행하기 위해 상장 예비심사 청구가 임박했다는 전망도 나온다. 다만 3조~4조원가량으로 예상되는 서울보증 기업 가치가 시장에서 인정받지 못할 경우, 기한 내 공적자금 회수가 불가능하다는 우려도 상존한다.
17일 예보·서울보증에 따르면, 예보는 최근 서울보증에 대한 지난해 결산 기준 올해 배당성향을 50.2%로 책정했다. 이는 지난해(50%)에 이어 2년 연속 서울보증의 한해 당기순이익 절반가량을 예보가 가져간 것이다. 한때 32%까지 떨어졌던 배당성향을 최근 들어 20%포인트가량 끌어올리며 공적자금 상환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서울보증 지분의 단계적 매각을 위한 IPO 계획이 가시화될 것이란 관측도 존재한다. 상반기 IPO를 목표로 설정한 바 있어, 조만간 한국거래소에 예비상장심사를 신청할 수 있다는 시각이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해 7월 서울보증 IPO를 통한 보유 지분의 단계적 매각을 공식화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 올해 상반기를 목표로 IPO를 진행해 예보가 보유한 지분 약 10%를 매각할 방침이다. IPO를 통해 시장가격(주가)이 형성되면 향후 추가 매각을 위한 여건이 마련될 것으로 당국은 기대하고 있다.
상장 일정을 단축하는 패스트트랙 제도 활용 가능성도 거론된다. 패스트트랙 요건은 개별 재무제표 기준 자기자본 4000억원, 매출액 7000억원(3년 평균 5000억원), 이익액 300억원(매 사업연도 이익 실현 및 3년 합계 이익 600억원)으로 알려졌다.
다만, 시장에서 기업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할 경우 공적자금 회수에 빨간불이 켜질 수 있다는 우려도 상존한다. 금융권에선 서울보증의 몸값을 3조~4조원가량으로 책정하고 있는데, 해당 가치가 낮아지게 되면 공적자금 회수 취지가 퇴색돼 상장이 무기한 연기될 수 있어서다. 최근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 등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는 점도 악재다.
예보는 공적자금상환관리특별법에 따라 공적자금 회수 기한인 2027년까지 남은 6조여원을 회수해야 한다. 예보는 그간 배당성향으로 꾸준히 자금을 회수했지만 20여 년간 회수 자금이 4조원에 불과한 점을 감안하면, 배당성향만으론 기한 내 모든 자금 회수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한편 예보는 서울보증의 최대주주(93.8%)다. 지난 1998년 부실화된 대한보증보험과 한국보증보험을 합병해 서울보증을 출범시키면서 10조2500억원가량의 공적자금을 투입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