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3/02/25/20230225135943960609.jpg)
[이성휘 정치부 기자]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과 현상, 삼라만상(森羅萬象)은 연결돼 있다. 원인이 있으면 결과가 있고 그 결과는 또 다른 사건의 원인이 돼 새로운 결과가 된다. 그러한 원인과 결과가 끊임없이 이어지는 것을 우리는 과정이라고 부른다.
오늘날 선진국으로 분류되는 대한민국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자살률 1위, 출산율 꼴찌를 기록하며 '국가소멸'이라는 결과를 향해 거침없이 가고 있는 것도 그에 합당한 원인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2005년 저출산·고령화위원회가 출범한 뒤 2021년까지 16년 동안 저출산 극복에 280조원을 쏟아부었지만 지난해 출생아 수는 24만9000명으로 20년 전인 2002년 49만7000명의 절반 수준이며, 30년 전인 1992년의 73만1000명과 비교하면 3분의 1로 떨어졌다.
이러한 결과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혼인 자체가 줄고, 혼인을 늦게 하는 추세가 꼽힌다. 지난해 혼인 건수는 19만2000건으로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다. 초혼 연령은 1990년과 비교해 2021년 기준 남성은 5.5세(27.8세→33.3세), 여성은 6.3세(24.8세→31.1세)가량 높아졌다. 늦게 결혼하다 보니 아이를 낳아도 하나뿐인 경우가 많다. 여기에 일과 육아를 병행하기 어려운 환경, 사교육비 부담 등도 저출산 상황을 부추기고 있다.
청년층은 왜 혼인과 출산을 꺼려하는가. 전국에서 가장 아이를 적게 낳는 서울(0.59명)과 가장 많이 낳는 세종(1.12명)의 합계출산율에 그 힌트가 있다. 서울은 주거‧보육비용이 비싼 지역으로 악명이 높은 반면, 세종은 직업이 안정적인 공무원이 많으며 보육 환경도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즉 주거·육아·교육·일자리·지방균형발전 등 전방위 대책을 마련해 출산에 대한 젊은 세대의 미래 불안감을 줄여야 주는 것이 핵심일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다음 달 발표할 '저출산 종합 대책'에 과연 어떤 내용이 들어갈지 관심이 모인다.
다만 아무리 좋은 대책이 마련된다고 해도 실제 이행할 수없다면 공염불에 그친다. 정부 대책이 실효성을 가지려면 국회의 입법이 필요하며, 이는 곧 거대 야당 더불어민주당의 협조를 구해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한민국은 전쟁의 폐허 속에서 기적적으로 일어나 선진국이 됐다. 그 과정에는 산업화‧민주화 세력, 보수‧진보, 여‧야, 노동계‧경영계 등의 끊임없는 작용(원인)과 반작용(결과)이 있었다. 이번 국가소멸 위기 극복 역시 정부와 국회, 여와 야의 적극적인 소통이 필요하다.
취임 후 1년 가까이 제1야당 대표와 단 한 차례도 만나지 않은 윤 대통령의 보다 적극적인 소통 노력을 기대해본다. '경례는 사람이 아니라 계급을 보고 하는 것(We salute the rank, not the man)'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