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경제 참여가 확대됐음에도 경력단절은 여전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여성의 재취업을 돕는 일자리 지원 정책에 플랫폼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는 전문가 제언도 나왔다.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경제학회가 2일 오전 서울 성북구 고려대에서 공동 개최한 경제학 공동학술대회·공동분과회의에서 교수와 연구원들은 여성 일자리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했다.
박 교수는 여성의 연령별 경제활동 참가율 그래프로 여성의 경력단절을 분석했다. 그는 “20대에 노동시장에 진입한 이후 결혼·출산·육아 등으로 경력이 단절돼 참여율이 낮아졌다가 다시 회복하는 M자형 형태”라고 말했다. 실제로 2015~2019년 기준 35~39세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60%로, 25~29세 75%, 45~49세 70%보다 아래다.
다만 과거에 비해 시점이 미뤄지고, 수가 줄었다고 분석했다. 그는 “단절 시점이 기존 25~29세에서 최근 30~34세로 미뤄졌고 경력이 단절되는 여성 수가 줄어들었다”고 전했다.
남재량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도 여성의 경력단절을 지적하며 성별 임금격차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남 연구위원은 “한국은 임금의 연공(여러해 일한 공로)성이 매우 강해 연령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분석했다.
이어 “출산·육아·가사노동으로 근속이 어려운 여성의 경력 단절이 연공급 체계에서 분리돼 임금에 불리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성별 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이 부분을 유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태희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여성들이 저임금 일자리에 쏠려있는 여성인력의 하향편준화를 고질적 문제로 제시했다.
그는 “코로나19 기간 주로 고임금 일자리인 디지털 관련 업종은 남성 위주로 취업자 수 변화가 미미한 반면 서비스업에 해당하는 여성 지배적 업종은 직격탄을 맞았다”고 분석했다. 이어 “한국 여성의 학력 수준은 세계 최고 수준임에도 여성 노동 시장은 크게 달라진 게 없다”고 비판했다.
권 연구위원은 여성의 재취업을 돕는 일자리 지원 정책에 플랫폼 방식을 도입하는 대안을 제시했다. 현재 일자리 1대 1 매칭 방식으로 여성의 재취업을 지원하는데 이를 플랫폼 방식으로 바꾸자는 것이다. 그는 “현재 35세~60세 여성을 대상으로 교육 훈련 등을 지원하고 있는데, 전통적인 훈련 방식으로는 산업계가 요구하는 인력양성이 어렵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