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에 이어 보험사들도 올초 성과급 잔치가 예상되고 있다. 특히 장기보험의 손해율 하락으로 전년대비 실적이 우상향한 손해보험업계의 성과급 증가세가 전망되고 있다. 다만 벌어들인 수익을 직원들과 나누는 것은 맞지만, 최근 대출 문턱을 높이며 서민들의 어려움을 외면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어, 보험권을 보는 시선이 따갑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보험업계(생명보험사 23개, 손해보험사 31개) 순이익이 8조원을 상회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지난해 4분기 영업이 다소 부진했지만, 1~3분기까지 보험권 누적 순이익이 7조7612억원을 기록한 상황에서 무난히 8조원을 넘어설 것이란 분석이다.
실제 삼성화재는 지난해 연봉 최대 44%의 성과급 지급을 최근 확정했다. 지난해 초 삼성화재는 표준연봉의 30% 수준을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10%포인트가량 증가한 셈이다. 현대해상과 DB손해보험은 지급시기나 액수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는 입장이나, 이들 각각 지난해 표준연봉의 20%, 33% 수준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이를 넘어설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특히 보험권은 메리츠화재 성과급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메리츠화재가 지난해 3분기 만에 사상 최대 실적을 갈아치우면서 올해 초 직원 상여금 수준이 업계 최고치인 '표준연봉의 50%' 수준에 다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메리츠화재는 지난해 초 표준연봉의 40%를 상회하는 수준의 성과급을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성과급 잔치가 예상되지만, 최근 자금 누수를 막기 위해 대출 문턱 높이기에 나서는 등 금리 상승기 속 서민들의 어려움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국내 12개 보험사 중 절반가량이 금리를 7%대까지 끌어올리며, 은행권 주담대 금리와 사실상 비슷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신용대출 평균 금리는 최고 13%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황형 대출로 꼽히는 약관(보험계약)대출 한도도 줄이거나, 판매채널을 축소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금융당국이 보험권에 대해서도 은행처럼 공적기능을 강조하고 나설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최근 '가상자산 금융 리스크 점검 토론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은행들이 주주환원 정책과 임직원 성과급 지급에 신경을 쓰는 것에 비해 이익환원은 국민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발언했다.
이 원장은 "은행은 거의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라며 "발생한 이익의 3분의 1을 주주환원하고 3분의 1을 성과급으로 지급한다면, 최소한 나머지 3분의 1 정도는 금융 소비자 몫으로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 개인적 생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