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경방] 정부, 내년 성장률 1.6%로 대폭 하향…물가 3.5% 전망

2022-12-21 14:00
  • 글자크기 설정

글로벌 경기위축, 금리인상으로 경기둔화 본격화

[사진=기획재정부]



정부가 국내 실물경제 위축이 본격화되면서 내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1% 중반대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물가도 올해보다는 낮지만 여전히 3% 중반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민생 어려움이 가중될 우려가 높다.

정부는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관계부처 합동브리핑을 열고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3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했다.

정부는 내년 국내총생산(GDP)이 1.6% 성장할 것으로 봤다. 지난 6월 발표한 목표치 2.5%보다 0.9%포인트 대폭 하향조정한 수치다.

이는 2%대로 여겨지는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을 밑도는 것으로, 코로나19로 마이너스 성장했던 2020년(-0.7%)과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2009년(0.8%)을 제외하면 2000년대 들어 가장 낮은 수준이다.

정부는 대외적으로는 급격한 통화긴축 등에 따른 주요국의 경기위축이 본격화되고, 대내적으로는 금리인상 영향 등이 경기 회복세를 제약하면서 내년 우리 경제가 힘든 시기를 보낼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우리 경제를 떠받친 민간소비는 2.5% 증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금리상승에 따른 원리금 상환부담 증가와 고용 둔화, 자산가격 하락 영향 등이 회복세를 제약한 탓이다.

1%대 전망치는 이미 국내외 기관에서 속속 내놓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기존 2.2% 전망치를 지난달 1.8%로 하향 조정했고, 한국은행도 2.1%에서 1.7%로 내렸다. 한국개발연구원(KDI)과 국제신용평가사 피치는 각각 1.8%, 1.9%로 내려잡은 바 있다.

하지만 그간 정부가 상대적으로 기관보다 낙관적인 평가를 해온 점을 감안하면 정확한 현실 진단을 중시하는 추 부총리의 의중이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그만큼 내년 경제 상황과 그에 대한 정부의 인식이 엄중하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소비자물가는 글로벌 원자재가격 하락, 수요 둔화 등으로 올해(5.1%)보다 오름세가 둔화(3.5%)할 것으로 예상된다.

3%대 물가 상승률은 올해를 제외하면 글로벌 금융위기가 시작된 2008년(4.7%) 이후 가장 높은 것이다. 여전히 한국은행의 물가안정 목표인 2%를 훨씬 웃도는 만큼 내년에도 인플레이션 흐름 자체는 계속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정부는 하반기로 갈수록 물가가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지만, 공공요금 상방압력 확대와 지정학적 불확실성 등에 따른 원자재 가격 변동 가능성 등 리스크 요인이 상존해 쉽게 예단할 수 없는 상황이다.

취업자수는 올해(81만명)보다 크게 위축된 10만명 증가에 그칠 전망이다. 올해 일상회복, 비대면·디지털 전환 수요 등으로 예년보다 높은 증가세를 기록한 데다가 장기 추세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기저영향, 경기 둔화 등이 맞물려 취업자 증가폭이 쪼그라들 것으로 예상된다.

경상수지는 올해(220억 달러)에 이어 내년(210억 달러)에도 소폭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상품수지가 올해 95억 달러 흑자에서 내년 230억 달러 흑자로 개선되지만, 해외여행 재개 등으로 서비스·본원·이전소득 수지는 20억 달러 적자를 보일 것이라는 게 정부의 전망이다.

추 부총리는 "상반기에 수출·민생 등 어려움이 집중되고 하반기로 갈수록 점차 회복되는 상저하고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며 "위기를 넘어 다시 도약하는 대한민국을 반드시 만들어 내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