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쉽고 바르게-2]⑦ 일본어·영어 뒤범벅 스포츠 용어

2022-08-24 00:00
  • 글자크기 설정

한국야구위원회, 야구 기록지 34년간 한자로 도배…2016년에야 한글화

쉽지 않은 골프 용어…대한골프협회, 핸디캡 난이도 등 개선 중

일본어 범벅이던 당구 용어… 프로당구협회, 꾸준한 한글화 노력 성과

"나도 모르게 사용하는 스포츠 외국어, 이제는 고쳐야 할 때"

''ㅈ'자 앞에서 공을 던지는 아이.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요시(よし) 그란도 시즌(グランド シ―ズン). 라지에타(ラジエ-タ-) 지금 터졌어."

2008년 7월 27일 일본프로야구(NPB)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의 경기. 2006년 요미우리로 이적한 '국민 타자' 이승엽이 홈런을 때렸다.

109일 만에 터진 시즌 첫 홈런에 해설을 맡은 백인천 감독 입에서 튀어나온 말이다. 

스포츠 중계 역사상 가장 혼란스러운 상황 중 하나였다. 한글과 일본어가 뒤섞였다. 주가 되는 것은 일본어였다.

'역시 하나, 둘, 셋이야'라는 주장이 있는 '요시 그란도 시즌'은 뜻하지 않게 좋은 일이 생기거나 원하는 것을 얻었을 때 사용하는 감탄사가 됐다.

우리나라 누리꾼들이 너도나도 사용했다. 나도 모르게 사용하는 외국어다.

'라지에타'도 마찬가지다.

'라지에타'는 발음에 어려움을 느낀 일본인들이 라디에이터(Radiator)를 줄여 부른 말이다.

우리는 '라지에타'라 부를 이유가 없다. 발음에 부침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열 발산 장치, 방열기 같은 우리말로 바꿔 부른다면 더욱 좋다.
 

1982년 프로야구 기록지. [사진=아주경제 DB]

◆ 최근 한글화로 변경된 야구 기록지

야구에서는 최근까지 한자로 도배된 기록지를 사용했다.

한국야구위원회(KBO) 리그는 1982년 시작됐다. 1936년 출범한 NPB보다 46년 뒤처졌다.

당시에는 신문과 법조문 등에서 모두 한자를 사용했다. 

두 가지 이유 때문인지 야구 기록지는 모두 한자로 도배돼 있다.

팀 이름, 출전 선수 이름, 경기 내용 등이다. 야구 경기 기록을 작성하는 목차 역시 모두 한자다.

한자를 모르는 사람은 기록지를 보고 이해할 수 없을 정도다.
 
이는 2016년 3월 7일까지 이어졌다. 약 34년이라는 세월 동안 기록원들은 기록지 작성을 위해 한자 사전을 뒤져야 했다.

한자를 사용한 주된 이유 중 하나는 중복 선수다. 기록원들은 이들 선수 한글 이름 앞에 등 번호를 붙이기로 했다.

한글화 전환에 대해 KBO 관계자는 "사실 한글화로 전환한다고 해서 기록원들이 편한 것은 아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것을 바꿔야 하기 때문"이라며 "오랜 기간 한글 표기에 대한 민원이 많았다. 언론도 그렇고, 기록에 관심이 있는 일반 팬들도 한글로 써 달라고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경기 중인 WPBA 투어 선수들. [사진=PBA 투어]

◆ 한글화를 위해 노력하는 PBA 투어

다른 종목에 비해 프로당구협회(PBA)는 한글화에 적극적이다.

PBA가 시작된 2019년부터 올해까지 꾸준히 한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작업에는 심혈을 기울인다. PBA 심판, 해설가 등 당구 관련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고 하나씩 수정해 나갔다. 회의도 2019년부터 2022년까지 4년 연속 진행되고 있다.

당구 용어는 일본어와 영어가 섞여 있다. 사실 일본어가 대부분이다. 

이에 PBA는 우리말과 국제 통용어인 영어 표현을 토대로 매년 'PBA 당구 용어'를 발표한다. 올해 당구 용어는 지난 4월 발표됐다.

적구는 목적구, 다마는 당구공, 다이는 당구대, 오시는 밀어치기, 시키는 끌어치기, 맛세이는 찍어치기, 우라는 뒤돌리기, 오마는 앞돌리기, 하꾸는 옆돌리기 등으로 변경했다.

PBA는 한글화 홍보를 위해 공식 누리집 내 상시 게재, 당구장 내 포스터 부착 등을 진행했다.

중계 시에도 한글화한 용어를 사용하도록 권장했다. 중계에 나오는 말과 자막 모두 'PBA 당구 용어'를 따른다.

PBA 관계자는 "방송과 선수 등 PBA 관계자들이 중심이 돼 용어를 조기 정착시키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이후 동호인들과 당구 팬들에게 적극적으로 전파하고 홍보할 계획"이라며 "앞으로 더 좋은 의견이 개진된다면 차후 더 많은 분야에 대한 용어 정립 과정에서 얼마든지 수용하고 개선해 나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홀에서 공을 꺼내는 골퍼.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한글화 쉽지 않은 골프, KGA는 그래도 노력 중

당구에 비해 골프는 한글화가 쉽지 않다.

보기, 파, 버디, 홀 등을 만국 공통어처럼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대한골프협회(KGA)는 필요하다면 한글화로 전환한다.

홀이 쉽고 어려움을 뜻하는 핸디캡은 '난이도'로 변경됐다. '난도'는 어려움을 측정할 때 사용하고, '난이도'는 쉽고 어려움을 가늠할 때 사용하기 때문이다.

한자 잠정구(暫定球)는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프로비저널 볼'로 변경했다.

이에 대해 KGA 관계자는 "2017년까지는 협회에서 명확하게 기준을 두지 않았다. 2018년부터 매뉴얼이 나오다 보니까 골프 규칙을 중심으로 수정하게 됐다"며 "골프는 전 세계에서 사용하는 공통 용어가 많다. 많은 부분을 한글화하기는 어렵다. 자체적으로도 맞는 한글 표현인지 확인하기 위해 담당 번역가가 국립국어원에 확인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 2011년 실태 조사에도 여전히 사용하는 외국어

2011년 국립국어원은 스포츠 중계에 대한 언어 사용 실태를 조사했다.

당시 조사 대상은 공중파 3사(SBS, KBS, MBC)가 중계하는 축구 대회 2회, 야구 대회 2회, 국제 대회 2회였다. 

6번의 중계 중 잘못된 표현이 104개 나왔다. 이 중 대다수(62개)를 차지한 것이 바로 불필요한 외국어·외래어 사용이다.

중계 중 나왔던 외국어와 외래어는 '밸런스·발란스(균형)' '파워풀하고 다이나믹한(힘 있고 역동적인)' '스타팅(선발선수)' '세컨드 볼(튕겨 나온 공)' '볼 컨트롤(제구)' '컴비네이션 플레이(협동 공격)' '와일드 피치(거친 투구)' '콜(신호)' '타이트하게(엄격하게)' '탑클래스(최고 수준의 선수)' '페널티(벌칙)' '오버 페이스(무리)' '타이밍(시간)' '리벤지 매치(패배를 만회하기 위한 경기)' '아이컨택(눈 맞춤)' '슈퍼세이브(선방)' '허슬 플레이(몸을 사리지 않는)' 등이다.

대다수 외국어·외래어는 11년이 지난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실태 조사 발표에도 상황은 나아지지 않았다.

스포츠에서 우리말을 쉽고 바르게 쓰기 위해서는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대한체육회, 국민체육진흥공단 그리고 스포츠 기사를 작성하는 언론이 힘을 모아야 한다. 각 종목 단체와 한국프로스포츠협회 가입사도 PBA와 같은 움직임이 필요한 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