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종찬의 정치직설] 이준석 大반격과 MZ세대 민심

2022-08-08 07:56
  • 글자크기 설정

배종찬 인사이트케이 연구소장 [사진=인사이트케이 제공]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의 대반격이 시작되고 있다. 지난 7월 7일 국민의힘 중앙당 윤리위원회에서 6개월 당원권 정지를 당했던 이 대표는 절치부심하며 ‘공개 잠행’을 이어가고 있었다. 이 대표에게 드리워진 기존 민심은 윤리위 징계를 당한 데 대해 동정 여론이 있기는 했지만 이 대표 개인의 의혹에 대한 의심의 눈초리가 결코 적지 않았다. 그러나 윤석열 대통령과 권성동 원내대표 사이에 주고받은 문자가 공개되면서 새로운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이 대표를 향한 일반 대중들의 동정 여론이 확대되고 있다. 이 시점에 윤핵관을 중심으로 의원들이 부랴부랴 ‘이준석 찍어내기’ 문자 파동을 무마하기 위해 비상대책위원회를 출범시킬 태세다. 그렇지만 순순히 당하고만 있을 이 대표는 아니기에 대반격이 예상된다.

우선 ‘비대위 체제 효력 정지에 대한 가처분 신청’이다.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는 권성동 문자 파동 이후 급물살을 타고 있다. ‘악수 패싱’과 ‘어깨짝 스매싱’을 이 대표와 주고받았던 배현진 의원의 최고위원 사퇴 의사를 필두로 조수진·윤영석 의원이 사퇴를 밝히면서 가시화되었다. 지난 5일 상임전국위원회가 당을 ‘비상’ 상태로 인식하면서 비대위 출범이 기정사실화되었다. 이 대표가 법적으로 문제 삼게 되는 부분은 절차적인 문제와 함께 ‘비상’ 상태에 대한 인식이다. 윤핵관들 주도로 비대위 체제를 당연한 수순으로 이어가고 있지만 이 대표와 가까운 최재형 혁신위원장은 ‘비상’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하태경 의원도 공감하고 있다. 당의 절차는 그럭저럭 넘어갔지만 법원에서 다른 판단이 내려질 수 있다는 계산이다.
이 대표의 두 번째 반격 카드는 ‘MZ 세대(2030세대)의 우호적 민심’이다. 이 대표가 당 윤리위원회로부터 징계를 받자마자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은 하락했고 여태 회복이 되지 않고 있다. 국민의힘 지지율도 이 대표 징계 이후 2030 MZ세대 지지가 이탈하고 있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가 TBS의 의뢰를 받아 지난달 29~30일 실시한 조사(8월 1일 공표·이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에서 ‘이준석 대표의 징계에 윤석열 대통령의 의중이 작용되었다는 주장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는지’ 물어보았다. 윤 대통령의 의중이 작용되었다는 주장에 공감하는 의견이 68.8%로 압도적이다.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25.5%에 그쳤다. MZ세대 의견은 어떻게 나타났을까. 20대는 공감 의견이 63.2%나 되고 30대는 71.6%나 된다. 윤 대통령의 의중 반영에 대해 설마 했던 MZ세대 여론이 걷잡을 수 없이 부정적인 상태로 드러난 셈이다. 일각에서 이 대표에 대한 경찰 수사 결과와 기소 그리고 의혹 제기 상대에 대한 무고죄 등을 거론하며 법적으로도 살아남기 힘들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대통령 문자까지 확인된 마당에 경찰의 수사 결과가 이 대표의 혐의 입증으로 그리고 기소로 이어진다고 공감할 여론이 얼마나 될까. 특히 MZ세대는 말이다. 그렇다면 향후 이 대표의 반격 국면에서 가장 든든한 우군은 MZ청년세대가 된다.

이 대표가 만지작거릴 세 번째 카드는 ‘극적인 당내의 정치 지형 변화’다. 윤석열 정부는 윤 대통령의 입김이 가장 강하게 작동하겠지만 당의 사정은 조금 다르다. 대통령의 지지율이 견고하고 오는 2024년 총선에 대통령 마케팅이 가능하다면 모르겠지만 국정 수행 지지율이 계속 바닥을 헤맨다면 당내 지형은 어디로 튈지 모를 일이다. 윤핵관이 이 대표를 때리면 때릴수록 대중 여론은 이 대표를 향한 정치적 공감이 더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권성동·장제원 같은 윤핵관이나 차기 당 대표로 거론되는 안철수·김기현 같은 인물도 이준석의 대중적 경쟁력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물론 당장 일어날 일은 아니더라도 여차하면 선거 역학 구조에 따라 당내 여론은 조금 더 이준석 복귀 쪽으로 기울 가능성이 열려 있다. ‘법적인 대응’, ‘MZ세대 민심’, ‘당내 정치 역학’ 등 무슨 반격 카드를 상상하더라도 이준석의 존재감이 쉽사리 사라지지 않는다는 현실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