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모빌리티] 시동 건 '반값 전기차'…치열해지는 배터리 원가경쟁

2022-07-02 07:00
  • 글자크기 설정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전 세계 완성차 업체들이 전기차 가격을 크게 내린 ‘반값 전기차’ 경쟁에 뛰어들 채비다. 반값 전기차는 전기차 원가의 40%까지 달하는 배터리 가격 하락을 전제조건으로 한다. 최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에 배터리 원자재 공급망이 크게 불안하지만, 이러한 환경적 악재를 극복하고 반값 전기차를 현실화하는 곳이 시장 주도권을 쥘 것이란 분석이다.
 
◆“전기차 3000만원 시대 멀지 않았다”

최근 미국 포드의 짐 팔리 최고경영자(CEO)는 현지 인터뷰를 통해 전기차 가격 전쟁을 예고했다. 조만간 완성차 업체들마다 3000만원대에 이르는 전기차 가격을 책정할 것이며, 이 시장을 잡기 위한 주도권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수년 내 전기차 제조비용이 1만8000달러(약 2300만원)대까지 낮아질 수 있다”면서 “이는 완성차 업체들이 시판가격을 2만 달러대까지 낮출 수 있음을 의미하며, 제조사들의 시장 경쟁을 한껏 부추길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견해는 전기차 원가에서 40%대까지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배터리 가격 인하가 가능하다는 확신에서 나온다. 올해 당장은 배터리 가격 인하가 쉽지 않을 수 있겠지만, 이르면 내년부터 배터리 순환 생태계가 한층 원활해질 수 있다는 관측이다.

앞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2024년까지 배터리 가격을 현재보다 56%나 낮출 것이라 선언했으며, 폭스바겐도 2023년에 반값 배터리가 가능하다고 자신했다. 일각에서는 원자재 공급망 불안이 극심해지고 있다며 완성차 업체들의 희망사항에 불과하다는 시선이지만, 최근의 흐름은 아예 불가능한 시나리오가 아니라는 쪽에도 힘을 실어준다. 

배터리 업체들은 원가절감을 위해 원료 수급망 개선부터 배터리 제조 공정 혁신 등에 박차를 가하는 중이다. 중국 CATL의 경우 가격경쟁력을 앞세워 단숨에 시장 1위로 올라섰다. 상대적으로 단가가 높은 코발트와 망간 대신, 단가가 저렴한 인산·철 소재의 배터리를 앞세운 결과다. 여기에 셀투팩(CTP)으로 일컬어지는 배터리 제조 공정 간소화를 이뤄냈으며, 올해에는 3세대 셀투팩 기술을 접목한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개발해 주행거리가 1000㎞까지 이를 수 있다고 밝혔다.

일본 파나소닉은 기존보다 에너지 밀도가 높고 공간 효율성이 탁월한 ‘4680’ 배터리를 개발해 전기차 시장에서 원통형 배터리를 전면에 끌어올렸다. 특히 2025년까지 배터리 제조비용을 최대 70%까지 절감한다는 계획을 세웠으며, 지난해에는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도 개발에 착수했다. 전 세계 완성차 판매 1위인 도요타와도 손을 잡아 배터리 원가 경쟁력 확보에 분주하다.
 

[그래픽=아주경제]

◆합종연횡부터 규모의 경제까지…원가절감 사투

미국 시장에서는 벌써부터 반값 전기차 경쟁 조짐을 보이고 있다. GM은 쉐보레 ‘볼트 EV’와 ‘볼트 EUV’ 가격을 각각 2만6000달러, 2만8000달러까지 인하하며 보급형 전기차로 키우겠다는 의지다. GM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올해 4월 일본 혼다와 손을 잡는 ‘적과의 동침’까지 마다하지 않았다. 3만 달러 이하의 전기차를 혼다와 공동 개발해 대량 생산하겠다는 계획이다. GM이 물꼬를 트면서 포드와 스텔란티스 등 미국 3대장들도 합종연횡을 모색할 것으로 점쳐진다.

특히 배터리 업체와 완성차 업체의 합작사 설립도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은 GM, 포드와 손을 잡고 미국에 배터리 공장을 함께 짓기로 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5년까지 북미에서만 200GWh(기가와트시) 이상의 생산량을 확보할 계획이다. 2030년에는 생산 능력을 이보다 두 배나 늘린 500GWh를 목표로 잡았다. 삼성SDI도 스텔란티스와 협력해 미국에 합작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이러한 합작 움직임도 반값 전기차의 연장선이다.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는 것이 배터리 가격을 대폭 낮출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으로 본 것이다. 업계에서는 현 시점을 기준으로 연간 50GWh 이상을 생산하면 손익분기점을 넘는 것으로 보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이 500GWh의 목표를 달성한다면 상당한 원가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반값 전기차를 위한 소재 확보 경쟁도 눈여겨볼 사항이다. 현대차는 최근 인도네시아 니켈 광산에 투자를 단행했으며, 중국 BYD는 6곳의 리튬 광산을 인수했다. 스텔란티스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배터리용 리튬 확보에 나섰고, 폭스바겐도 호주 광산 등 해외 투자에 공을 들이고 있다. 테슬라는 전 세계 곳곳에 원자재 공급망을 촘촘히 심어 놓고 변동성을 최소화하고 있다.

한편에서는 완성차와 배터리 업계의 과열 경쟁으로 인해 배터리 원자재 가격이 오랫동안 불안정할 것이라는 견해다. 그러나 다수 전문가는 원자재 상승 추이가 단기적 요인에 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전 세계 완성차 기업이 한꺼번에 전기차 제조에 뛰어들면서 원자재 가격이 치솟는 일종의 병목현상으로 볼 수 있다”며 “완성차 업체들의 합종연횡에서 볼 수 있듯이 결국은 투자든 비용절감이든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면 자연스럽게 낙오하는 이들이 생겨나 시장 안정화가 찾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SK이노베이션 헝가리 1공장 전경. [사진=SK이노베이션]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