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발사 기약 없는 연기...후속 우주 사업에는 지장 없나?

2022-06-16 17:10
  • 글자크기 설정

2차 발사 완료 후 누리호 4차례 더 발사하는 고도화 사업 예정

발사 연기됐지만, 설계상 문제 아냐...후속사업에 주는 영향 미미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6월 15일 누리호 점검을 위해 발사대에서 분리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16일로 예정됐던 발사 일정은 기약 없이 연기됐다.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누리호 2차 실험이 발사를 앞둔 점검 과정에서 부품 문제로 인해 연기되면서 한국형발사체 개발사업이 다소 지체됐다. 다만, 이번 연기는 발사 실험 실패가 아닌 단순 부품 오류이기 때문에 향후 이어질 '발사체 고도화' 및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 등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을 전망이다.

1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에 따르면 이날 발사를 목표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를 전날인 15일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로 옮겨 설치했다. 하지만 15일 오후 진행한 발사 점검 과정에서 1단 엔진 산화제 탱크의 센서 작동 이상을 발견하고 보완을 위해 발사 일정을 취소했다.

항우연의 설명에 따르면 탱크 내에 산화제(액체산소)가 얼마나 들어있는지 측정하는 계측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으며, 누리호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는 문제를 찾아 해결하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해 발사대에서 분리했다. 조립동으로 이송하는 작업은 15일 22시 30분께 마무리됐다.

16일 오후에 열린 브리핑에서 고정환 항우연 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은 "현재 연료 탱크와 산화제 탱크 사이에 있는 전선 뭉치와 신호처리 박스를 우선 점검하고 있다. 이 부분은 단간 분리 없이 점검창만 열고도 접근 가능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문제가 발견되지 않으면 1단과 2단을 분리하고 탱크에 장착된 센서를 점검해야 한다. 분리에는 최소 3일이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항우연은 늦더라도 16일 중 신호처리 박스 등에 대한 점검을 마치고,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17일 오전까지 향후 계획을 논의한다. 다만, 발사 예비일인 23일이 지나면 다음 발사 일정은 더 멀어진다. 항우연이 일정을 잡아 과기정통부에 알리면, 이를 국토부를 통해 국제해사기구 등에 통보한다. 이후 국제사회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이는 최대 한 달까지도 걸리기 때문이다.
 

[사진=아주경제 DB]

◆단순 하드웨어 문제로, 누리호 설계문제 아냐...고도화 사업 영향은 미미

누리호는 2023년 6월까지 예정된 한국형발사체 개발사업으로 제작된 발사체다. 사업 기간 중 두 번의 발사를 계획했으며, 이번 2차 발사 연기는 예정된 기간 내에서 일정을 조정하는 셈이다.

발사체 고도화 사업은 오는 2027년까지 6874억원을 들여 추진되는 것으로, 개발 사업을 통해 완성된 누리호를 4회 더 반복 발사하면서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다. 누리호는 이미 지난해 10월 발사를 통해 문제점을 찾고, 이를 개선하는 등 완성체에 가까워졌다.

고 본부장은 "내년 초 이뤄질 3차 발사(고도화 사업)에는 이번 연기로 인한 영향이 없을 것"이라며 "3차 발사 기체에 대한 부분은 이미 조립을 착수한 상태고, 이번 2차 발사에서는 계측 센서 단품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파악 중이다. 때문에 3차 발사 일정 조정은 논의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사업도 이미 착수한 상태다. 고도화 사업 1호기(누리호 3호기)는 누리호 2호기 발사 실패 시 예비로 활용할 수도 있다. 다만 이번에는 단순한 발사 연기이며, 3호기 조립 완료를 기다리는 것보다 2호기를 점검해 보완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따라서 2호기 점검에 집중하고, 발사 일정을 다시 논의할 계획이다.

때문에 이번 발사 연기와는 무관하게 고도화 사업은 차질 없이 진행될 전망이다. 또한 정부 주도로 진행한 1·2호기와 달리 향후에는 발사체 기술을 민간기업으로 이전하고, 민간에서 직접 누리호와 같은 로켓을 제작해 발사할 수 있는 체계종합기업도 육성할 예정이다.

다만, 현재 국내총생산(GDP) 대비 우주개발 투자 비중이 낮은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한국은 2021년 기준 GDP 중 0.04%를 투자하는 반면, 미국은 0.21%다. 전문인력 확보와 예비 호기를 통한 사전 점검 강화를 위해서는 투입하는 예산을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