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4/08/20220408112512434644.jpg)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6차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2.4.8. [사진=기획재정부]
정부가 미국이 주도하는 인·태경제프레임워크(IPEF) 가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신청서는 문재인 정부에서 제출하고 협상은 다음 정부에 맡길 방침이다.
정부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6차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논의했다.
이어 "특히 IPEF 논의는 보다 구체화되고 논의 속도도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며 "참여에 긍정적 방향으로 입장과 향후 계획을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가입을 앞두고 국민 의견을 듣고 있는 CPTPP 관련 계획도 밝혔다. 홍 부총리는 "CPTPP는 '이번 정부 내 가입 신청, 다음 정부 가입 협상'이라는 큰 틀에서 추가 피해 지원과 향후 액션플랜 등을 최종 점검해야 한다"고 했다.
중국 당국이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라 상하이를 비롯한 현지 주요 도시를 봉쇄한 데 대한 점검도 주문했다. 기재부에 따르면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우리 주력산업 품목은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고 있으나 2차전지·석유화학 관련 일부 품목은 출하·선적이 늦어지며 국내 도입에 차질을 빚고 있다.
홍 부총리는 "주요 도시들 봉쇄로 인한 중국발 공급망 충격이 당장은 파급 영향이 크지 않으나 장기화 땐 국내 생산 현장 충격이 우려되는 만큼 지역별 품목별 점검과 대비를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대외경제 이슈와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와 긴밀하게 협조하겠다고도 밝혔다.
홍 부총리는 "정부 교체기에 국민 불안이 없도록 그리고 리스크 요인이 부각되거나 누적되지 않게 물가 대응 등 핵심 사안들을 대통령직인수위원회와 긴밀히 협의해 왔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대외경제 안보 이슈는 더 틈새나 실기가 없게 꼼꼼하게 협의·조율해 조치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