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서도 탄소중립] 문성혁 장관의 해양 그린수소 포부

2021-12-22 06:48
  • 글자크기 설정

2050년 온실가스 배출 324만톤 감축을 목표로

[사진= 해양수산부]

"해운·항만과 수산 분야에서의 탄소배출량 저감은 물론, 해양에너지를 활용한 화석연료의 대체, 블루카본을 통한 탄소 흡수 등을 통해 2050 탄소중립을 넘어선 탄소 네거티브를 추진하고자 합니다"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

해양수산부는 지난 10월 수립된 국가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원활한 이행을 위해 해양수산 분야의 탄소중립 정책 추진 방향을 제시하는 ‘해양수산분야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해양수산부는 2050 온실가스 배출목표를 탄소중립(Net Zero)에서 더 나아가 324만톤을 감축하겠다고 목표를 설정했다. 해수부는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 방향과 수단 등 세부적인 계획을 수립했다. 구체적으로는 해운업, 수산업 등 해양수산업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을 줄이고, 화석연료를 파력(波力), 조력(潮力) 등 해양에너지로 대체하는 한편, 갯벌, 바다숲 등 블루카본을 활용해 탄소흡수원을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친환경 선박, 해양 탄소중립의 마중물

정부는 우선 해양수산업 중 해운분야에서 디젤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을 단계적으로 저탄소·무탄소선박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30만7000톤(2018년 101만9000톤)까지 줄일 계획이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저탄소(LNG, 하이브리드 등) 선박 기술을 고도화하고, 무탄소(수소, 암모니아) 선박 기술을 상용화하는 한편, 친환경 관공선과 친환경선박 대체건조 지원을 마중물로 민간 선사의 친환경선박 전환을 유도할 계획이다.

또한, 수산‧어촌분야는 노후어선 교체 및 감척, 에너지 고효율 장비 보급 확대 및 재생에너지 확대로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11만5000톤(2018년 304만2000톤)까지 줄일 계획이다. 이를 위해 노후어선을 신조선으로 대체 건조하고, 기관을 새로 교체하는 등 연료 효율을 높이고, 감척 대상을 선정할 때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어선을 중심으로 선정하는 등 어선어업분야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도모한다. 아울러 액화천연가스(LNG), 전기 등을 연료로 하는 친환경어선 기술개발과 보급을 확대하고, 히트펌프, 인버터와 같은 에너지 고효율 장비를 양식장과 수산가공시설에 보급하는 등 수산업 전반을 친환경 체제로 전환한다. 양식장과 국가어항 등의 유휴부지와 유휴수역에 태양광, 소수력, 파력 등 다양한 재생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도 구축한다.
 
파력과 조력, 무궁한 해양 에너지도 탄소중립에 동반자

정부는 2050년까지 파력, 조력 등 해양에너지 활용을 확대해 온실가스 배출량 229만 톤을 감축할 계획이다. 현재 운영 중인 시화호 조력발전소의 증설가능성을 검증하고 신규 대상지를 발굴하기 위한 타당성조사를 추진하는 등 조력발전소를 점진적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조류발전, 파력발전 등 아직 상용화가 되어 있지 않은 해양에너지는 실증연구를 통해 상용화시킬 계획이다. 조류발전 시범단지 구축, 방파제 연계형 파력발전의 단계적 확산 등 대규모 실증프로그램이 예정되어 있다는 게 정부 측 설명이다.

아울러 해양에너지‧해양바이오 기술과 결합한 수소 생산 기술도 고도화한다. 파력과 풍력을 활용해 그린수소를 생산할 수 있도록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연안부터 시작해 외해까지 실증단지를 구축해 실증과 상용화를 추진한다. 또한, 해양미생물을 활용해 고순도의 수소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해양바이오 기반 수소생산기술도 개발할 계획이다.

갯벌, 염생식물 등 해양의 탄소흡수원인 블루카본을 통해 2050년까지 136만2000톤의 탄소를 흡수할 계획이다. 블루카본의 흡수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갯벌 복원사업과 갯벌 식생복원사업으로 2050년까지 훼손된 갯벌 30㎢와 갯벌식생 660㎢를 복원하는 한편, 2030년까지 540㎢의 바다숲을 조성한다.

또한, 환경‧탄소흡수 소재를 이용해 콘크리트 구조물 중심인 해안선을 복원하는 등 연안지역을 전면 재설계하는 ‘숨쉬는 해안뉴딜’도 2022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이와 더불어 해조류, 패류, 미세조류 등 추가적인 블루카본을 발굴하기 위한 연구를 확대하고, 블루카본과 관련된 국제공조도 강화해 블루카본의 선도국가로 발돋움할 계획이다.
 
항만시설의 에너지 효율 제고, 수소경제 이행의 전진기지

항만의 다양한 장치와 시설물을 재정비해 탄소중립에 힘을 보탠다.

야드트랙터, 트랜스퍼 크레인 등 항만 하역장비의 엔진을 저공해 엔진으로 전환하고, 항만시설물의 에너지 효율을 제고한다. 동시에 태양열 등 신재생에너지 활용을 확대해 2050년까지 탄소 중립항만을 구현한다. 또한, 지난 11월 수립한 ‘수소항만 조성방안’을 차질없이 이행해 2040년까지 연간 1300만 톤의 수소를 항만을 통해 공급하는 등 항만을 수소경제 이행의 전진기지로 육성한다.

해수부는 국가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에서 6000만 톤이라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요 감축 수단인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상용화에도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다부처 탄소포집 및 이용‧저장 사업단(CCUS) 내에서 해수부는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 있는 해저 저장소 후보지를 탐색해 제시하고, 개발된 저장기술을 실제로 구현하도록 한다. 이 가운데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해외 CCS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도록 이산화탄소의 국가 간 이송을 관할하는 런던의정서 개정 조약 비준절차도 신속하게 이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해양폐기물의 매립과 소각 과정에서 다량의 온실가스가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해 해양폐기물의 재활용률을 높이고, 해양폐기물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모색하는 등 해양과 관련된 다양한 온실가스 감축방안도 추가로 발굴할 계획이다.
 
한편, 해양수산부는 지난 10월 발족한 해양수산분야 기후변화대응TF를 상설기구로 만들어 변화하는 사회 환경과 기술 여건을 해양수산 탄소중립 로드맵에 지속적으로 반영한다. 해양 기후변화의 양상을 정밀하게 관측‧예측하고 기후변화가 바다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해나간다. 또한, 이번 해양수산분야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의 정책방향과 해양수산분야 기후변화대응TF의 논의 내용을 담은 단기적이고 구체적인 추진계획인 ‘제4차 기후변화대응 해양수산부문 종합계획’도 내년 상반기 중에 수립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