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의 설명에 따르면 이번 예산은 2050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제조·에너지기업의 공정 전환 지원 사업이 중점적으로 반영된 결과다.
내년도 예산의 주요 사용 목적을 보면 △친환경·디지털 기반 산업혁신 및 유망 신산업 경쟁력 제고(5조9026억원) △차질 없는 에너지 전환 및 에너지 신산업 육성(4조7280억원) △견조한 수출 플러스 지속 및 통상현안 대응 강화(9391억원) 등에 집중됐다.
특히 공급망 안정성 확보를 위해 소재부품 기술 연구·개발(R&D)에 올해보다 1300억원가량 늘어난 8410억원이 편성됐다. 전력핵심소재 자립화(R&D)와 뿌리산업 경쟁력 강화 지원에도 각각 1842억원과 198억원을 배정했다.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산업 디지털 전환 지원에 올해보다 10억원을 늘렸고, 디지털 유통물류 기술 개발 및 실증지원(R&D)에도 23억원이 신규 책정됐다.
저탄소·분산형 에너지로의 전환 가속화를 위한 신재생에너지 금융지원(융자) 예산은 올해보다 1250억원 늘어난 6590억원으로 확정했다. 녹색혁신금융(융자) 예산도 370억원에서 418억원으로 증액됐다.
수소경제 조기 구현을 위한 예산 중 수소 유통기반 구축사업 예산이 올해 36억원에서 내년도 128억원으로 늘었고, 액화수소 검사기반 구축사업에는 42억원의 예산이 신규 편성됐다.
아울러 산업단지 내 입주 기업의 생산단계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 감축을 위한 산단 내 클린팩토리 구축 지원 예산이 확대됐고, 산업계 혁신적 탈탄소 R&D 예산도 증액 편성됐다.
해외 진출에 어려움을 겪는 수출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해외 마케팅 및 바우처를 제공하도록 했다. 외국교육연구기관 등 유치 지원 예산으로 50억원이 배정됐다.
국가 핵심기술의 불법 해외유출 방지를 위한 산업기술 보안기반 구축 예산이 올해 23억원에서 내년 31억원으로 늘었고, 보호무역주의 심화에 대비한 국가 간 협력을 공고히 하고자 산업통상협력개발지원(ODA) 예산도 올해보다 106억원 많은 394억원으로 편성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