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편의 연극 만들어지는 과정 무대에 선보이는 국립극단

2021-11-15 00:00
  • 글자크기 설정

[사진=국립극단 제공]


한 편의 연극에는 수많은 사람의 땀이 담겨 있다. 국립극단이 그 과정을 무대 위에 올려 관객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국립극단(예술감독 김광보)은 오는 19일부터 12월 5일까지 서울 용산구 국립극단 소극장 판에서 2021년 ‘창작공감: 연출’에 참여하고 있는 강보름, 김미란, 이진엽 연출의 창작과정을 공유한다.
오는 19일부터 21일까지는 이진엽 연출의 ‘커뮤니티 대소동’, 오는 26일부터 28일까지는 강보름 연출의 ‘소극장판-타지’, 12월 3일부터 5일까지는 김미란 연출의 ‘이것은 어쩌면 실패담, 원래 제목은 인투디언노운(미지의 세계로, 엘사 아님)’의 중간 제작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각 작품은 내년 상반기 국립극단 제작 공연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창작공감: 연출’은 현장의 연출가들과 함께 동시대의 화두를 중심으로 창작극을 개발하기 위한 작품개발사업이다.

연간 주제로 장애와 예술(2021), 기후위기와 예술(2022), 과학기술과 예술(2023)을 제시하고, 올 초 2021년 ‘장애와 예술’을 주제로 국립극단과 함께 작업할 연출가를 모집했다.

장애와 극장의 관계를 장애와 사회의 관계로 확장하고자 하는 강보름, 무대에서 이중 언어 구현에 집중하는 김미란, 지속적인 커뮤니티 작업 경험을 바탕 삼아 시각장애에 집중하는 공연을 계획하고 있는 이진엽 연출이 선정되었다.

연출가들의 계획을 씨앗 삼아 4월부터 11월까지 다양한 리서치, 워크숍, 특강 등이 진행되었고, 이번 ‘창작공감: 연출 창작과정공유’를 통해 처음으로 일반 관객을 만나 작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청취할 예정이다.

그간 극장 외 다양한 공간에서 공연해온 이진엽 연출은 처음으로 극장 작업에 도전한다. 시각장애인들과 몇 번의 작업을 통해 인간이 얼마나 시각 중심의 언어를 사용하는지 깨달은 그는 ‘커뮤니티 대소동’에서 관객과 함께 배제 없는 소통의 언어를 찾아본다.

다수의 장애 관련 연극에 부지런히 참여해 온 강보름 연출은 ‘소극장판-타지’에서 장애, 비장애 배우와 함께 각자의 미스핏(misfit)을 알아보고 관객에게 ‘극장은 미스핏을 드러내는 공간이 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미스핏은 개인과 환경의 물질적 배치가 상호 불일치할 때 발생하는 어떤 것이다.

김미란 연출은 2020년 국립극단 청소년극 ‘영지’ 작업에서 수어 노래 장면을 시도하며 수어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이번 ‘창작공감: 연출’을 통해 그 관심은 수어라는 ‘언어’를 넘어 수어를 사용하는 ‘사람’까지 확장되었다.

‘이것은 어쩌면 실패담, 원래 제목은 인투디언노운(미지의 세계로, 엘사 아님)’에는 각각 수어와 한국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는 농인 배우와 청인 배우가 무대에 올라 전혀 다른 언어와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다.

김광보 국립극단 예술감독은 이번 사업에 대해 “‘창작공감: 연출 창작과정공유’는 세 연출가들의 완성된 결과물을 선보이는 것이 아닌, 제목 그대로 한 편의 공연이 어떤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지, 그 창작과정을 관객과 공유하는 자리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김 예술감독은 “특히 지난 6개월 동안 다양한 리서치와 워크숍을 통해 각 공연에 맞는 가장 적합한 배리어프리 방식이 무엇일지를 함께 하는 배우, 스태프들과 적극적으로 고민해왔다. 이번 창작과정 공유 현장에서의 시도가 관객들에게 수많은 질문을 만들어내며 의미 있는 상호 작용이 오가기를 바란다”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