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 회장이 코로나19 이후의 경제 도약을 위한 한·미·일 경제계 협의체 추진을 제안했다.
허 회장은 9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포스트 팬데믹, 글로벌 경제 질서 변화와 한·미 경제협력’을 주제로 열린 ‘제33차 한·미 재계회의 총회’ 개회사를 통해 이같이 제안했다.
그는 "한국과 미국이 힘을 합쳐 무너진 세계 경제 질서를 바로잡고, 자유로운 무역환경을 재건해야 한다"며 "아시아 지역의 개발과 도약을 위해서 공통의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 간 긴밀한 논의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 한·미·일 경제계의 정례적인 대화와 협력을 위한 플랫폼을 출범시키자"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선 △한·미 정상회담 경제협력 과제 점검 △글로벌 공급망 탄력성 재구축 △첨단전략기술 한·미 협력 및 글로벌 디지털 규범 형성 △기후변화와 에너지 협력 등을 주제로 논의가 이뤄졌다.
특히 양국 참석자들은 코로나19 이후 급속히 추진되고 있는 글로벌 공급망 재구축이 기업의 민감한 정보를 보호하고 민간 경제계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이를 토대로 양국 기업인들은 제33차 한·미 재계회의 공동성명서를 내고 △공급망의 실질적인 병목점 파악을 위한 민·관 대화 △기업의 자율적 참여를 위한 비즈니스 인센티브 제공 △기업의 비즈니스 기밀 정보 보호 등을 촉구했다.
아울러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 미국의 무역확장법 232조 개정 움직임에 공감하며 개정까지 노력해 나가기로 했다. 또 내년 시행을 앞둔 우리나라의 중대재해처벌법이 경영·투자 환경에 미칠 부정적 영향에 대해 우려를 표시하기도 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이번 회의를 통해 무역확장법 232조 개정 등 무역·투자 제한 요소 개선의 필요성을 양국 정부에 전달했다”며 “내년도 한·미 재계회의는 서울에서 대면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허 회장은 9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포스트 팬데믹, 글로벌 경제 질서 변화와 한·미 경제협력’을 주제로 열린 ‘제33차 한·미 재계회의 총회’ 개회사를 통해 이같이 제안했다.
그는 "한국과 미국이 힘을 합쳐 무너진 세계 경제 질서를 바로잡고, 자유로운 무역환경을 재건해야 한다"며 "아시아 지역의 개발과 도약을 위해서 공통의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 간 긴밀한 논의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 한·미·일 경제계의 정례적인 대화와 협력을 위한 플랫폼을 출범시키자"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선 △한·미 정상회담 경제협력 과제 점검 △글로벌 공급망 탄력성 재구축 △첨단전략기술 한·미 협력 및 글로벌 디지털 규범 형성 △기후변화와 에너지 협력 등을 주제로 논의가 이뤄졌다.
이를 토대로 양국 기업인들은 제33차 한·미 재계회의 공동성명서를 내고 △공급망의 실질적인 병목점 파악을 위한 민·관 대화 △기업의 자율적 참여를 위한 비즈니스 인센티브 제공 △기업의 비즈니스 기밀 정보 보호 등을 촉구했다.
아울러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 미국의 무역확장법 232조 개정 움직임에 공감하며 개정까지 노력해 나가기로 했다. 또 내년 시행을 앞둔 우리나라의 중대재해처벌법이 경영·투자 환경에 미칠 부정적 영향에 대해 우려를 표시하기도 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이번 회의를 통해 무역확장법 232조 개정 등 무역·투자 제한 요소 개선의 필요성을 양국 정부에 전달했다”며 “내년도 한·미 재계회의는 서울에서 대면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