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장 예약은 예전부터 쉽지 않았지만 본격적으로 어려워진 시기는 2019년 이후다. 골프 인구가 늘어나며 전국의 골프장은 수용 인원을 가득 채웠다. 지난해부터는 그린피 가격을 올리기 시작했다.
진 파트너는 "이보다 더 매출이 높아질 수 있겠느냐는 이야기가 나온 게 2019년이었다"며 "그 이유는 골프장에 사람들이 꽉 찼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런데 대중제 골프장은 지속적으로 좋아지고 있다. 작년 매출이 전년 매출을, 올해 매출이 작년 매출을 뛰어넘고 있다"며 "그간 인상률이 미미했던 그린피를 골프장이 본격적으로 올렸음에도 사람들이 골프장을 찾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신규 골프장 공급은 지지부진하다. 한국골프장경영협회에 따르면 국내에서 운영 중인 골프장은 회원제 160개, 대중제 341개 등 총 501개다. 2016년의 486개, 2014년의 473개와 비교하면 별로 늘어나지 않은 수준이다. 이 기간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과는 더욱 대조된다.
골프장 공급이 늘어나기 어려운 까닭으로는 인허가 과정의 난관이 꼽힌다. 골프장이 인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18홀 기준으로 약 30만평 내외의 면적이 필요하나, 이 정도의 땅을 한 사람이 소유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지주가 여러 명이란 의미다. 또한 2011년 관련 법 개정으로 민간이 골프장을 도시계획시설로 개발할 수 없게 되었고 불가피하게 매입하지 못한 토지를 확보할 때 최후 방안으로 고려하던 수용권에도 제동이 걸렸다. 이전에는 도시계획시설로 골프장 인허가를 받을 수 있어서 수용권 사용이 가능했다. 즉 골프장을 짓기 위해서는 땅 주인들을 일일이 만나 모두 설득해야 한다.
진 파트너는 "수요가 늘어나면 수요와 공급이 균형을 맞춰 발전하게 되는 것이 이치지만 골프 산업은 공급이 쉽게 늘지 않는다. 현재는 골프장 공급이 늘어봐야 1년에 평균 5개 수준이다"라며 "많은 이들이 골프장 건설을 목적으로 인허가를 시도하고 있지만, 최근에야 골프장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이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 금융위기 이후에는 골프장 사업승인을 받았다 하더라도 PF가 안되어서 골프장 공급이 정체되었다면, 지금은 앞서 얘기한 토지 확보의 가능성, 제도적 규제 강화, 각종 민원 충돌 등으로 인해 골프장 개발에 제동이 걸리는 사례가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진 파트너는 '위드 코로나'가 실시된다면 골프장들은 또 한 번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또 한 차례 차별화 시도에 나설 것으로 내다보면서, 골프장 실적이 최악의 경우를 맞이한다고 해도 2019년 수준은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골프장은 도심 근처부터 외곽지까지 퍼져 있는데 도심 근처부터 사람들이 찬다"며 "가까운 곳은 올린 가격을 버틸 것이고, 외곽지들은 소폭 하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해외로 골프 치러 가는 여행객을 대신할 골프 인구는 많다. 전국의 골프 인구가 500만~600만명으로 추산된다"며 "이미 코로나 이전부터 수 년째 상승 중인 골프장 시장의 성장세는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현재는 물론 앞으로도 골프장 공급이 어려워서 시장 상황이 나빠질 가능성이 없기에 정말 최악의 경우가 2019년 매출로 돌아가는 것이다. 그 수준의 매출도 호황이라 불릴 만한 수준의 매출이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