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전문가에 묻다-골프장①] '위드 코로나'에도 골프장 산업 '끄떡없다'

2021-11-04 18:00
  • 글자크기 설정
기업 인수합병(M&A) 거래에서 사고파는 양측이 주연(主演)으로 활약한다면, 이들 사이에서 딜을 주관하고 자금조달을 주선하는 등 조연(助演)들의 역할도 빼놓을 수 없다. 특히 M&A거래가 예전에 비해 정교해지고 세분화되면서 거래를 자문하고 컨설팅하는 파트의 중요성도 부각되고 있는데 이 분야에서는 특히 회계사들의 활약도 두드러진다. 이제는 M&A 자문 업무가 회계법인들의 주요 사업 분야 가운데 하나로 당당히 자리잡았다. 이에 아주경제는 이 분야의 최고 회계사들을 소개하고 이들의 얘기를 들어보는 기획 시리즈를 준비했다. 자본시장 최전방에서 활약하는 전문가들을 만나 아직은 쉽지 않은 분야로 여겨지는 M&A의 세계를 들여다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편집자 주>
 
최근 2년 사이 아파트 가격만큼 오른 자산이 있다면 단연 골프장이다. '골프장 부킹 대란'은 현재진행형이며, M&A에서도 대부분의 딜이 성공적이었다. 일각에서는 '위드 코로나' 이후 해외여행이 재개되면서 국내 골프장의 호황기도 끝날 것이란 전망이 나오기도 하지만, 업계 넘버 원(No.1) 골프장 M&A 전문가의 견해는 달랐다.
 

[그래픽=아주경제]
 

지난달 28일 아주경제 자본시장부는 진현식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파트너와 인터뷰를 가졌다. 진 파트너는 '위드 코로나'로 전환된다고 하더라도 대중제 골프장을 중심으로 호황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경제학의 기본인 수요·공급의 원칙을 바탕으로 접근했다.

골프장 예약은 예전부터 쉽지 않았지만 본격적으로 어려워진 시기는 2019년 이후다. 골프 인구가 늘어나며 전국의 골프장은 수용 인원을 가득 채웠다. 지난해부터는 그린피 가격을 올리기 시작했다.

진 파트너는 "이보다 더 매출이 높아질 수 있겠느냐는 이야기가 나온 게 2019년이었다"며 "그 이유는 골프장에 사람들이 꽉 찼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런데 대중제 골프장은 지속적으로 좋아지고 있다. 작년 매출이 전년 매출을, 올해 매출이 작년 매출을 뛰어넘고 있다"며 "그간 인상률이 미미했던 그린피를 골프장이 본격적으로 올렸음에도 사람들이 골프장을 찾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신규 골프장 공급은 지지부진하다. 한국골프장경영협회에 따르면 국내에서 운영 중인 골프장은 회원제 160개, 대중제 341개 등 총 501개다. 2016년의 486개, 2014년의 473개와 비교하면 별로 늘어나지 않은 수준이다. 이 기간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과는 더욱 대조된다.

골프장 공급이 늘어나기 어려운 까닭으로는 인허가 과정의 난관이 꼽힌다. 골프장이 인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18홀 기준으로 약 30만평 내외의 면적이 필요하나, 이 정도의 땅을 한 사람이 소유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지주가 여러 명이란 의미다. 또한 2011년 관련 법 개정으로 민간이 골프장을 도시계획시설로 개발할 수 없게 되었고 불가피하게 매입하지 못한 토지를 확보할 때 최후 방안으로 고려하던 수용권에도 제동이 걸렸다. 이전에는 도시계획시설로 골프장 인허가를 받을 수 있어서 수용권 사용이 가능했다. 즉 골프장을 짓기 위해서는 땅 주인들을 일일이 만나 모두 설득해야 한다.

진 파트너는 "수요가 늘어나면 수요와 공급이 균형을 맞춰 발전하게 되는 것이 이치지만 골프 산업은 공급이 쉽게 늘지 않는다. 현재는 골프장 공급이 늘어봐야 1년에 평균 5개 수준이다"라며 "많은 이들이 골프장 건설을 목적으로 인허가를 시도하고 있지만, 최근에야 골프장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이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 금융위기 이후에는 골프장 사업승인을 받았다 하더라도 PF가 안되어서 골프장 공급이 정체되었다면, 지금은 앞서 얘기한 토지 확보의 가능성, 제도적 규제 강화, 각종 민원 충돌 등으로 인해 골프장 개발에 제동이 걸리는 사례가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진 파트너는 '위드 코로나'가 실시된다면 골프장들은 또 한 번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또 한 차례 차별화 시도에 나설 것으로 내다보면서, 골프장 실적이 최악의 경우를 맞이한다고 해도 2019년 수준은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골프장은 도심 근처부터 외곽지까지 퍼져 있는데 도심 근처부터 사람들이 찬다"며 "가까운 곳은 올린 가격을 버틸 것이고, 외곽지들은 소폭 하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해외로 골프 치러 가는 여행객을 대신할 골프 인구는 많다. 전국의 골프 인구가 500만~600만명으로 추산된다"며 "이미 코로나 이전부터 수 년째 상승 중인 골프장 시장의 성장세는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현재는 물론 앞으로도 골프장 공급이 어려워서 시장 상황이 나빠질 가능성이 없기에 정말 최악의 경우가 2019년 매출로 돌아가는 것이다. 그 수준의 매출도 호황이라 불릴 만한 수준의 매출이다"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