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회의에는 대통령을 비롯해 국무총리, 교육·행정 안전‧산업통상자원‧국토부 장관, 국가균형발전위원장, 자치분권 위원장 및 17개 시·도지사 등 50여 명이 참석해 정부와 권역별 대표 자치단체장이 각각 관계부처 합동 ‘초광역협력 추진전략’과 ‘권역별 초광역협력 추진사례’를 발표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이날 대구‧경북 초광역협력 추진전략 보고 서두에서 “지금 대구·경북은 수도권 블랙홀에 대응하고, 광역화된 세계도시들과 경쟁해야 하는 두 개의 생존경쟁을 치르고 있다”라고 언급했다.
이어 “대구·경북 행정 분리 40년 동안 행정구역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소모적 경쟁과 규모의 행정으로 인해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불가능했고, 이러한 위기 극복의 절박함 속에서 대구·경북 상생의 새로운 길을 모색하게 됐다”라고 대구경북통합 논의 배경을 밝혔다.
통합대구경북 출범을 위한 3대 전략에서 먼저, 대구의 테스트베드(Test bed) 전략과 경북의 밸류체인을 기반으로 로봇을 비롯한 미래 차, 바이오‧메디컬산업을 초광역협력 사업으로 확정하며, 대구·경북의 산업구조를 재편하여 대한민국 혁신성장의 사다리를 구축한다.
이러한 3대 산업을 선도하기 위해 산‧학‧연‧정 연계강화로 맞춤형 인재를 양성‧제공하며, 마지막으로 대구경북 통합신공항과 영일만신항으로 이어지는 환태평양 글로벌 허브를 조성하여 동남부권 경제 물류 중심지로서 내륙지역의 한계를 극복하겠다는 구상이다.
또한, 권 시장은 ‘대구경북통합’은 공론화위원회를 통한 시‧도민 주도의 상향식 의견수렴의 결과임을 강조하면서, 단일 광역행정경제권 조성을 위해 광역 통합에 대한 법적 근거와 행‧재정적 특례의 조속한 마련을 건의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오늘 보고회에서 논의된, 지역이 원하고 제안하는 지역발전 방향과 구체적인 정책제언이 대선공약으로 반영되어, 권역별 초광역협력이 초광역 행정경제공동체로 출범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대통령님의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어진 토론회에서 지역 주도의 ‘초광역협력’을 국가 균형발전의 핵심 정책으로 채택하고 향후 국가 차원의 행‧재정적 지원 등 범정부적인 노력을 집중하자는 것에 뜻을 모으면서 ‘대구·경북지방자치단체’ 설립과 ‘대구경북특별광역시’ 출범도 전환기를 맞이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