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코로나19 위기 이전 수준인 1.25%까지 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금리변동에 취약한 '영끌·빚투족'들이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 3월 예정된 대통령선거 이후 새 정부가 구성되면 한 차례 정도 인상될 것으로 예측되지만, 주택 매매 가격 급등과 가계부채 증가세가 잡히지 않을 경우 추가 인상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7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발표한 '2022년 경제·금융시장 전망'보고서에 따르면 기준금리가 경기회복과 금융불균형 누증을 감안해 올해 4분기와 내년 3분기 추가로 인상되면서, 내년에는 1.25%로 복귀할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 3분기 인상 시점에 대해서는 새로운 정부의 정책 점검 필요성과 신임 한은 총재 부임 및 일부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임기 종료를 고려한 결과다.
아울러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진행되면서 시중금리도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3년만기 국고채 금리도 올 4분기 1.65%에서 내년 4분기 1.80%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다만, 내년 1회 금리인상은 올해 두 차례의 금리인상과 가계부채 규제 강화로 금융불균형이 완화된다는 조건을 달았다. 만일 내년까지 주택매매가격 급등과 가계부채 급증세가 이어질 경우 두 차례 금리인상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김수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금융불균형 완화를 위한 국내 정책당국의 의지와 인플레이션 장기화에 따른 연준의 조기 긴축 우려가 부상할 수 있어 금리 상승세가 가파르게 전개될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7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발표한 '2022년 경제·금융시장 전망'보고서에 따르면 기준금리가 경기회복과 금융불균형 누증을 감안해 올해 4분기와 내년 3분기 추가로 인상되면서, 내년에는 1.25%로 복귀할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 3분기 인상 시점에 대해서는 새로운 정부의 정책 점검 필요성과 신임 한은 총재 부임 및 일부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임기 종료를 고려한 결과다.
아울러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진행되면서 시중금리도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3년만기 국고채 금리도 올 4분기 1.65%에서 내년 4분기 1.80%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다만, 내년 1회 금리인상은 올해 두 차례의 금리인상과 가계부채 규제 강화로 금융불균형이 완화된다는 조건을 달았다. 만일 내년까지 주택매매가격 급등과 가계부채 급증세가 이어질 경우 두 차례 금리인상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내년 경제전망에 대해선 코로나19 여건이 개선되는 가운데 내수 회복 확대 등으로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올해 V자 반등 이후 기저효과 소멸 속에 정책지원 축소와 수출경기 둔화 등에 따라 경제 성장 모멘텀은 점차 약화될 것으로 판단, 올해 경제성장률 추정치 3.9%보다 낮은 2.8%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원·달러 환율은 올해 4분기 1170원에서 내년 4분기 1180원으로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주요국 중 가장 매파적인 통화정책과 대외건전성 등에도 불구하고 국내 성장 모멘텀 둔화, 해외투자 확대 기조, 외국인 자금유입 불확실성 등 비우호적 수급환경이 이어지면서 상승 압력이 지속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국제유가는 비(非) 석유수출국기구(OPEC)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플러스(+)와 미국 등 주요 산유국 생산 확대로 공급 부족 현상이 점차 완화되면서 하락할 전망이다. 두바이유 배럴당 평균 가격이 올해 60달러대 후반이었다가 내년에는 60달러 중후반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원·달러 환율은 올해 4분기 1170원에서 내년 4분기 1180원으로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주요국 중 가장 매파적인 통화정책과 대외건전성 등에도 불구하고 국내 성장 모멘텀 둔화, 해외투자 확대 기조, 외국인 자금유입 불확실성 등 비우호적 수급환경이 이어지면서 상승 압력이 지속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국제유가는 비(非) 석유수출국기구(OPEC)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플러스(+)와 미국 등 주요 산유국 생산 확대로 공급 부족 현상이 점차 완화되면서 하락할 전망이다. 두바이유 배럴당 평균 가격이 올해 60달러대 후반이었다가 내년에는 60달러 중후반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