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중국대사관이 최근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대한 중국 당국의 고강도 규제 불똥이 한국 연예계로까지 번질 것이라는 우려를 불식하고 나섰다.
주한중국대사관은 8일 입장문을 통해 "최근 중국 정부가 연예계 및 '팬덤'의 혼란한 상황을 바로잡기 위해 벌인 '칭랑(淸朗:중국의 인터넷 정화 운동)' 특별 행동이 한·중 문화 교류에 지장을 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 당국의 집중 단속은 양국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대사관은 한국 언론들이 중국의 규제로 한국 연예인을 포함한 일부 연예인의 팬클럽 계정이 폐쇄된 사실에 주목하며 중국 당국의 규제가 한·중 문화 교류에 지장을 줄 것이라 우려하고 있고 심지어 중국의 관련 조치가 한국을 겨냥한 측면이 있다고 여기고 있는데 사실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중국 정부의 이같은 행동은 공공질서에 어긋나거나 법률과 법칙을 위반하는 언행만을 겨냥하는 것이지, 다른 나라와의 정상적인 교류를 겨냥한 것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대사관은 "특히 올해는 '한·중 문화 교류의 해'가 시작되는 해이고 내년은 한·중 수교 30주년"이라면서 "한·중 우호 협력을 한층 더 발전시키는 것이 시대의 흐름에 맞고 양국의 근본 이익에도 부합한다"고 전했다.
또 중국은 한국과 문화 교류를 계속 강화하고 긍정적인 에너지가 넘치는 문화 교류 및 협력하기를 바란다는 입장도 강조했다. 대사관은 현재 '한·중 문화 교류의 해'의 행사들이 다채롭게 진행되고 있다며 문화 교류가 신시대에 한·중 관계를 활기차게 발전시키는 원동력으로 양국 관계를 한 단계 촉진하는 데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고도 했다.
최근 연예계와 팬덤 문화를 겨냥한 중국의 단속이 한류 문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 사회관계망서비스 웨이보는 지난 5일 비이성적으로 스타를 추종하고 응원하는 내용을 전파했다는 이유로 소녀시대 태연, 블랙핑크(로제, 리사) 개인 팬클럽, NCT, 엑소, 방탄소년단 팬클럽 등 한국 연예인 팬클럽 계정을 무더기 정지시킨 것으로 전해졌다.
주한중국대사관은 8일 입장문을 통해 "최근 중국 정부가 연예계 및 '팬덤'의 혼란한 상황을 바로잡기 위해 벌인 '칭랑(淸朗:중국의 인터넷 정화 운동)' 특별 행동이 한·중 문화 교류에 지장을 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 당국의 집중 단속은 양국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대사관은 한국 언론들이 중국의 규제로 한국 연예인을 포함한 일부 연예인의 팬클럽 계정이 폐쇄된 사실에 주목하며 중국 당국의 규제가 한·중 문화 교류에 지장을 줄 것이라 우려하고 있고 심지어 중국의 관련 조치가 한국을 겨냥한 측면이 있다고 여기고 있는데 사실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중국 정부의 이같은 행동은 공공질서에 어긋나거나 법률과 법칙을 위반하는 언행만을 겨냥하는 것이지, 다른 나라와의 정상적인 교류를 겨냥한 것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또 중국은 한국과 문화 교류를 계속 강화하고 긍정적인 에너지가 넘치는 문화 교류 및 협력하기를 바란다는 입장도 강조했다. 대사관은 현재 '한·중 문화 교류의 해'의 행사들이 다채롭게 진행되고 있다며 문화 교류가 신시대에 한·중 관계를 활기차게 발전시키는 원동력으로 양국 관계를 한 단계 촉진하는 데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고도 했다.
최근 연예계와 팬덤 문화를 겨냥한 중국의 단속이 한류 문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 사회관계망서비스 웨이보는 지난 5일 비이성적으로 스타를 추종하고 응원하는 내용을 전파했다는 이유로 소녀시대 태연, 블랙핑크(로제, 리사) 개인 팬클럽, NCT, 엑소, 방탄소년단 팬클럽 등 한국 연예인 팬클럽 계정을 무더기 정지시킨 것으로 전해졌다.